1. 일반개황
- 국 명 : 카타르국(State of Qatar)
- 수 도 : 도하(Doha, 인구 : 30만명)
- 국가원수 : H.H. Sheikh Hamad bin Khalifa Al-Thani
- 왕 세 자 : H.H. Sheikh Tamim bin Hamad bin Khalifa Al-Thani
- 수 상 : H.H. Sheikh Abdullah bin Khalifa Al-Thani
- 위 치 : 걸프만 서안에 위치한 돌출 반도(남쪽은 사우디와 접경)
- 인 구 : 74만명(단, 카타르 국적인은 약 15만명)
- 종 교 : 이슬람교(국교, 대부분이 Sunni파)
- 정부형태 : 국왕(Emir)을 국가원수로 하는 국왕 중심제
- 의회제도 : 자문위원회(Advisory Council), 중앙 자치의회(Central Municipal Council)
- 사법제도 : 전통적인 Sharia 법원외에 5개의 법원으로 구성
- 독립기념일 : 9.3(1971.9.3. 영국 보호령으로부터 독립)
- 화폐단위 : Qatar Riyal(US$ 1 = QR 3.64)
- 1인당 국민소득(GNP) : US$ 30,410 ('03)
- 국민총생산(GDP) : US$ 200억('03)
- 주요자원 : 천연가스, 원유, 석유화학제품, 비료, 철강, 시멘트 등
- 원유매장량 : 32억 배럴(1일 석유 생산량 75만 배럴)
- 가스매장량 : 900조 입방피트
2. 약 사
가. 고 대
- 고고학적 조사에 따르면 BC 4C 남부 이라크와 북부 걸프 아라비아 지대에 번성한 Ubaid 문명이 카타르에까지 미쳤으며, 인간 정주의 흔적을 남김.
- BC 5C에 원주민이 정주하기 시작했으며, AD 2C에 아랍 세계지도에 Qatra로 지명이 표기됨.
나. 중 세
- 이슬람 여명기에 Mandher 왕조의 지배하에 있다가 그후 Khawarej와 Qarameta의 지배를 받음.
- 6C에 인도행 무역전략 거점으로 포루투갈의 통제하에 있었으나, 곧 오토만 터키의 영향권으로 들어감.
다. 근 대
- 1860년대 Bani Utab족 카타르에 정착
- 1868 : Sheikh Mohamed bin Al-Thani족 영국과 선린외교관계 수립, 협정 체결 (이후 현재까지 Al-Thani 왕가가 지배)
- 1876 : Ottoman Turkey의 정부 수립
- 1880 : Bahrain과 영토보호 협정 체결
- 1899 : Kuwait와 영토보호 협정 체결
- 1913 : 영국과 Ottoman Turkey 제국간 협정체결로 카타르 독립인정
- 1914 : 영국과 Ottoman Turkey 제국간 정식 협정체결로 영국은 카타르 국내 문제 불간섭 언약(동시에 카타르 반도내의 터어키 세력권 규정)
- 1916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터어키 세력 물러가고 영국 세력 신장
- 1970 : 영국 보호령으로부터 아랍 연맹 가입을 허락하는 신헌법 제정 독립 선포
라. 현 대
- 1971. 9. 3 : 영국과의 보호협정 폐지, 완전독립을 선언
- 1971. 9. 4 : Sheikh Ahmed bin Ali Al-Thani국왕(Emir) 즉위
- 1971 : 아랍연맹 및 유엔에 각각 가입 (9.11 및 9.21)
- 1972. 2. 22 : 궁정 쿠데타로 국왕(Sheikh Khalifa bin Hamad Al-Thani) 즉위
- 1977. 5. 31 : Hamad 왕세자 국왕 후계자로 지명
- 1995. 6. 27 : 궁정 쿠데타로 현 국왕(Sheikh Hamad bin Khalifa Al-Thani) 즉위
- 1996. 10. 22 : 현 국왕의 3남인 Sheikh Jassim bin Hamad Al-Thani를 왕세자로 책봉
- 1999. 3. 8 : 중앙자치의회 의원 선거 실시 (29명)
- 2002. 7. 2 : 영구헌법안 발표 (5장 150조)
- 2003. 4. 7 : 중앙자치의회 의원 선거 실시 (여성의원 1명 최초 당선)
- 2003. 4. 29 : 영구헌법안 국민투표실시 (96.6% 찬성, 통과)
- 2003. 8. 5 : 현 국왕의 4남인 Sheikh Tamim bin Hamad Al-Thani로 왕세자 교체
- 2003. 9. 16 : 제1부총리(외교장관 겸직) 및 제2부총리(에너지·산업장관 겸직) 신규임명
1. 사증(비자)
- 우리나라와 사증면제협정이 체결되어 있지 않음.
- 우리나라를 포함, 선진국 등 33개국 국민은 카타르 입국후 공항에서 입국 비자(기간 : 통상 3주, 7일간 연장 가능함(사증 수수료는 QR 55(US$ 15), 연장시 QR 50).
- 사업목적의 장기체류 예정자는 카타르 입국전 카타르 소재 스폰서를 통해 주재국 이민국에 상용(Business) 비자를 신청, 2주 비자를 발급 받아 입국할 경우에는 입국후 10주 연장 가능함.(사증 수수료 : 입국시 QR 55, 10주 연장시 QR 250).
- 출입국 심사 및 통관
- 출입국 심사는 한국을 포함 구미선진국 여행자에 대해서는 까다로운 편이 아님. 출입국 카드 기재 제도 없음. 출국시 공항세 없음.
- 통관심사는 까다로운 편이 아니나, 회교국인 카타르는 회교 가르침에 위배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반입금지 및 제한품목 으로 규정하고, 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있음. 술, 돼지고기는 반입 금지되며, 비디오 테이프는 통과가 제한됨.
- 그 외 언론인들의 위성통신 장비도 사전허가를 받은 후 반입토록 하고 있음.
- 주한 카타르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동빙고동 1-77
- 전화번호 : (02) 790-1308
- FAX : (02) 790-1027
2. 식품
- 한국 식품점이 없어 주로 두바이를 통해 한국식품을 구입하고 있는 바, 출국시 대부분의 한국식품 재료를 가져오는 것이 필요함. 가령, 고추장, 된장, 고춧가루, 간장, 젓갈, 당면, 국수, 찹쌀가루, 라면, 멸치, 다시마, 미역, 해파리, 말린나물, 마른안주, 건어물 등
- 돼지고기 판매는 금지되어 있으며, 각종식품 가격은 한국과 큰 차이가 없으며 야채, 과일, 채소류, 육류, 생선은 비교적 풍부한 편임.
3. 건강진단
- 대부분의 치료는 국립 종합병원인 Hamad Hospital에서 실비 부담으로 할 수 있으며, 의료수준은 높지 않으나 병원 시설은 괜찮은 편임. 어렵고 큰 수술이 아닌 일반 진료 및 수술은 대부분 이곳에서 하고 있음. 상시 환자가 많은 편이어서 상당시간 차례를 위해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 진료시 사전 예약 필요.
- Emergency가 아닌 경우 먼저 Primary Health Clinic(General Practitioner)에서 질병 예방, 건강진단 및 치료를 받도록 되어 있으며, 진단후 필요시 국립병원인 Hamad Hospital에서 재진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 운영되고 있음.
- 국립병원 및 Primary Health Clinic 진료를 위해서는 의료카드가 필요함.
(1인당 연 US$ 28 소요)
- 이외에도 사설(개인) 병원을 통해 진료를 받을 수 있음.
- 주요병원
(국립병원)
- Hamad General Hospital : 4446446(Emergency Department 24시간 근무) 동 병원 내 별도 병원 형식으로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Rumailah Hospital (전화 : 4325151)과 여성들을 위한 Women's Hospital(전화 : 4420555)을 두고 있음.
(사설병원)
- American Hospital: 44421999
- International Pediatric Center: 44310909
- Doha Clinic: 4327300
- Family Dental Clinic(치과) : 4411007
4. 기후 및 의복
- 기후 : 사막성 기후
- 12-2월 : 8-12℃(겨울은 짧고 온화함)
- 5-10월 : 27-45℃(다습한 혹서)
- 3, 4, 11월 : 17-36℃(비교적 쾌적)
- 강우량 : 연 10-78㎜
- 겨울(12-2월)은 비교적 지내기가 좋으나, 기온이(10-20℃) 떨어져 한국의 초겨울 같은 날씨가 계속되기도 하는 바, 이에 대한대비 필요.
- 여름(5-10월)은 무덥고(40-50℃) 길며, 습도가 높음(70 - 90%)
5. 이사화물
- 전기 및 전자제품
- 현지 TV 및 Video 방식 : PAL 방식
- 현지 전기시스템 : 240V / 50Hz 이나, 220V / 60Hz 제품도 사용가능 (110V용 전자 제품은 변압기 필요, 변압기 구입은 현지 가전 상가에서 구입 가능)
- 한국전자제품 사용가능 여부 : 영상송출 방식이 다른 TV와 주파수 영향을 받는 가전 제품(예 : 진공청소기 등 모터로 작동되는 제품)을 제외하고는 한국 전자제품의 사용이 가능
- 가구·비품 및 장식품
- 가구는 한국보다 비싼 편이며, 물건도 다양하지 못하고 질도 떨어지는 편임.(인근 두바이에서 주문, 수송하는 방안도 가능)
- 주택은 Furnished가 되어 있는 주택이 많으나, 가구의 질은 낮은 편이며, 주택에 따라서는 Furnished 되어 있지 않을 경우도 있는바, 도착 후 현지 사정을 알아본 후,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봄.
- 현지 주택이 비교적 넓고 큰 편이어서 장식장등 기 사용중인 물품이 있을시 현지에 가져오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봄.
- 자동차
- 중고차 매매가 활성화되어 있으나, 적절한 차량을 구입하는데는 대개 1개월 가량 소요됨. 국산차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구입시 가격 부담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Resale시에는 가격이 떨어지는 편인데 비해, 도요타 등 일제차의 경우 구입가는 비싸나, Resale시엔 다소 유리한 편임.
- 신규 국산차량 구입은 현지에서 구입하는 가격보다 한국의 자동차 회사를 통해 직접 구입하는 것이 가격이 저렴하나, 현지 Agent를 통한 차량 구입가격과 비교 결정하는 것이 필요함. 현지 Agent를 통한 신규 차량 구입시 부과되는 세금은 관세 5%임.
- 현지 도로체계(roundabout 다수)상 Auto가 Manual보다 편리하고 사고 위험성이 적음.
-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 Door To Door 또는 Door To Port 관례 : 이사화물 운송 체계가 비교적 잘되어 있으며, 서울-도하간 선편으로 1.5개월 정도 소요됨. Door To Port(도하)로 송부하는 것이 운송비가 적게 소요됨.
- 현지 수속은 이삿짐 도착 후 10여일 정도 소요됨.
6. 각종 증명서
- 국제운전면허증 : 국제운전면허증을 인정하나 카타르 도착후 6개월간 사용가능
- 운전면허증 : 카타르는 우리나라와 상호인정 미체결 국가이나, 한.카타르 양국간 상호 양해하에 우리나라 운전면허 소지자에 대해서는 필기시험 및
기능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간단한 시력검사를 한 후 운전면허증을 교부하고 있음.
- 자녀입학 관련 서류 : 재학, 성적증명서, 학교장 추천서, 예방 접종기록 등 건강카드 필요함.
1. 주택
- 주택 사정 : 주택은 일반 개별 주택, 아파트, Compound(단독 주택 또는 2-3개 연립 주택 형태의 주택이 한 울타리 안에 소재하면서 관리사무소 에서 고장 처리 등 지원해주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치안, 도난방지 편의 면에서 아파트 및 개인주택보다는 Compound를 선호함. 신규 주택입주시 일정액의 보증금 예치제도 및 부동산 수수료가 없는 바, 계약기간 종료 후 이사 가능
- 계약방법 : 통상 장기(1년)계약이며, 보증금이 없음.
- 계약시 유의사항
- 보통 계약 종료 2개월전 사전 계약 종료 또는 계속 입주 여부를 통보하나, 개별계약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바, 가능한 계약 종료의사 통보 기간을 1개월 정도로 하는 것이 계약 해약시 유리(신규 계약 체결시 명기)
- 임대료는 현금과 수표로 지불 가능
- 입주시 유의사항 : 입주전 비품 등 상태점검 필요
- 계약 종료시 원상회복 관계 : 계약에 따라 다르나, 큰 파손이 없는 한 무방함.
- 주택관련 보험제도 : 개인적으로 가입 가능하나 통상 가입치 않음.
2. 식품
- 대규모 할인매장(까루프)이 City Center내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LuLu Hyper Market과 Hyatt Plaza가 개장되었음. 이외에도 채소, 과일 등 일용식품과 간단한 가전제품 등을 함께 취급 판매하는 The Center, Salam Plaza, Food Center, Family Food Center, The Mall이 있음.
- 생선류는 비교적 싼 가격으로 수산시장에서 살 수 있음.(이와 별도로, 신선한 생선을 부두에서 매일 아침 또는 저녁으로 정박, 판매하는 어부로부터 직접 구입 가능)
- 채소류는 야채시장에서 신선한 채소를 구입할 수 있으며, 육류는 상기 백화점에서 구입 가능하나 돼지고기는 수입금지 식품임.
3. 교육
- 학제개요 : 외국인학교는 영국 식민지의 영향을 많이 받아, 미국인 학교 등 일부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가 영국식 학제에 따라 운영하고 있으며, 이 경우 만 5세면 초등학교에 입학 가능함. 미국인 학교는 만 6세부터 초등학교 입학가능. 학기의 시작은 가을 학기부터임.
- 학교현황
- 국공립학교 : 주로 현지인이 입학
- American School of Doha(유치부-고등학교) : 미국학제로 운영되며, 만 6세부터 초등학교 입학이 가능함. 연간학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US$ 6,800 - 10,000 이며, 입학금은 학생당 US$ 1,000 정도 소요됨.
※ American School : 현지 외국인 학교중에서는 가장 좋다는 평을 받고 있음.
※ 예전과 달리 American School에 입학하려는 학생이 많은 편이며, Waiting List가 많을 경우 입학이 어려울 수도 있어 도착 전에 가접수 및 영국식 학교에도 입학서류를 넣어두는 것이 필요함.
- Doha College(중·고과정) : 영국학제로 운영되며, 만 13세 부터 입학 가능하며 연간 학비는 US$ 6,500 정도 소요됨.
- Doha Independent School(유치부-초등학교) : 영국학제로 운영되며, 만 5세부터 초등학교 입학 가능함. 연간학비는 US$ 3,400이며, 입학금은 학생당 US$ 275 소요됨.
- 이밖에도 Doha English Speaking School, Park House English School(영국학제, 유치부-초등학교) 등이 있음.
- 유치원 : 영국계 소규모 유치원이 많고 미국, 프랑스계 유치원 도 있음.
- 기타
- 입학절차 : 서류 심사후 개인면접을 함.
- 학기 : 9월에 학기 시작
- 필요서류 : 재학증명서, 전학년 성적증명서, 학교장 추천서, 건강진단서(병원 확인), 백신(예방 접종기록), 입학신청서, 여권사본(가족 모두), 사진 2장 등
- 대학교육
- 국립대학인 Qatar University 및 단과대학이 있으나, 아랍어로 강의를 진행함.
- 그 외에도 CHN-University Professional Education, College of North Atlantic,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Qatar, Weill Cornel Medical College in Qatar 등이 있음.
4. 자동차
- 차량 핸들은 왼쪽이고, 차량은 우측 통행임. (한국과 동일)
- 중고차 구입, 가격에 따라 다양하게 구입 가능
- 새차 구입시 5%의 관세를 지불토록 되어 있음. 허용 차량수는 제한 없음.
- 차량 운행시 유의사항
- 대중교통이 없어 가족용의 별도 차량이 있을시 자녀 학교 통학시 및 부인들의 활동에 편리
- 교통법규 위반시는 벌금이 상당히 높은 편인 바, 평소 신호위반 등을 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음. (도하시내 여러곳에 카메라 설치)
- Roundabout 이용시 먼저 진입하여 회전중인 차량이 우선(왼쪽 차량 우선)인 바, 사고시 진입차량 과실로 간주
- 거리별 제한 속도가 다르나, 시내는 시속 50㎞, 변두리 도로는 80 또는 100㎞이며, 고속도로는 120㎞임.
- 안전벨트는 고속도로 주행시 반드시 착용토록 규제하고 있으나, 시내 주행시에도 착용토록 권장함.
- 주차 위반에 대한 규제는 엄격하지 않으나, 점차 인구 및 차량 증가로 도심내 공공 장소에는 규제를 엄격히 하는 곳도 있음. 특히, 병원 등 공공건물의 경우 주차위반하지 않도록 주의
- 자동차 보험 : 보통 1년 단위로 계약을 맺고 사고후 48시간내에 회사측에 신고하면 거의 사고처리가 잘됨. 참고로 자동차 사고시 반드시 경찰 조서가 필요하며, 사고차량은 경찰이 올 때까지 그자리에서 기다려야 함. 자동차 보험료는 차종에 따라 다르나, 비교적 싼 편이며, US$ 200-500 소요.
5. 이사화물
- 해상 및 항공운송 공히 통관 전문업체에 의뢰하면 10여일후 수속 가능.
6. 공항
- 공항에서 시내까지의 거리는 약 20분거리, 택시비는 QR 15(US $4) 정도
7. 쇼핑
- 2000. 10 초대형 쇼핑몰인 City Center가 개장되었으며, 동 Center내 까루프 등 대형할인매장이 개장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2002. 5 LuLu Hyper Market 및 2002. 10 에 Hyatt Plaza가 개장됨.
- 이외에도 The Mall, Salam Plaza, Al-Saad, New World, Home Center 등 소형백화점 이용
- 금·은·보석 및 의류 전문매장은 밀집해 있음.
- 전통시장(Souq)에서 저렴한 가격의 물품구입 가능
8. 식당
- 외식산업은 비교적 발달되어 있으며, 최근 다양해지고 있음.
- 현재 한국식당겸 일본식당(문가네, Moon Palace / 한국관, Korean Garden)이 2곳 있으며, 중국식당과 태국식당 및 호텔 내 서양식당이 있음.
- 맥도날드, 피자헛, KFC 등의 Fast Food 음식점이 도심 곳곳에 산재되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근무지 및 자택으로 배달도 가능함.
9. 호텔
- 7개의 주요호텔이 있음.
- InterContinental Doha Tel : +974) 4844444 / Fax : +974) 4839555 e-mail : doha@interconti.com
- Marriott Doha Tel : +974) 4298888 / Fax : +974) 4418784 e-mail : marriott@qatar.net.qa
- Movenpick Hotel Tel : +974) 4291111 / Fax : +974) 4291144 e-mail : hotel.doha@moevenpick.com
- Oasis Hotel & Beach Club Tel : +974) 4424424 / Fax : +974) 4327096 e-mail : oasis@oasishotel-doha.com
- Ramada Hotel Tel : +974) 4417417 / Fax : +974) 4410941 e-mail : ramada@qatar.net.qa
- Sheraton Doha Hotel & Resort Tel : +974) 4854444 / Fax : +974) 4832323 e-mail : sheraton.doha@sheraton.com
- The Ritz-Carlton, Doha Tel : +974) 4848000 / Fax : +974) 4848484 e-mail : info.doha@ritzcarlton.com
- Four Seasons, Holiday Inn 등 수 개 일류호텔이 개장 예정임.
10. 관광
- 카타르는 수도 도하가 인구 및 활동의 중심이나, 도시 크기가 작고, 문화유적이 적어 최근까지 관광산업이 활발하지 않았음.
- 그러나, 3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수영을 즐길 수 있는 모래 해안들이 곳곳에 있으며, 사막관광, 낙타타기 등을 즐길 수 있음.
- 카타르 주요도시
- Doha, Umm Said, Al Wakrah, Al Khor, Al Shemal, Dukhan
- 박물관 관람시간
- 08:00-12:00 / 16:00-19:00(금, 토 제외)
- 동물원 관람시간
- 08:00-11:00 / 15:00-20:30(토 제외)
11. 종교 활동
- 이슬람 사원은 시내 곳곳에 있으며, 여타 종교활동에 대해 제한을 두지는 않고 있으나, 성당, 개신교회, 사찰 등 겉으로 드러 나는 종교 건물은 아직 없음.
- 개신교 한인 교회가 2개(재카타르 한인교회, 큰빛교회)있으며, 천주교 미사는 도하 교구 및 미국학교(체육관)를 사용(언어 : 영어)하고 있으며, 불교 사찰은 없음.
12. 언론매체
- 방송 : 카타르 국영 라디오 및 TV 방송은 각기 아랍어, 영어 방송을 별도 방영하며, 영어 뉴스 방송은 다음과 같음.
- 라디오(QBS) : 06:00 / 07:30 / 08:30 / 13:00 / 18:00 / 20:00
- QTV(CH.37) : 20:00(30분)
- 기타 방송: 카타르 국영 방송공사(Q-Tel)가 운영하는 Cable TV 채널을 통해 CNN 등 주요 위성 TV 시청이 가능함. 위성 수신기를 설치 한국아리랑 TV, Ch-Sun TV 시청이 가능
- 신문
- 영자 일간지 Gulf Times, The Peninsula지 있음.
- 아랍어 일간지 Al Sharq, Al Watan, Alraya지 있음.
13. 치안상태
- 치안상태가 아주 양호하고, 범죄 발생률이 낮은 편이나, 밤에 여성이나 어린이가 혼자서 택시를 타거나 멀리 나갈 때는 특별한 주의를 요함.
14. 한국대사관
가. 주소 및 연락처
- 주소 : P.O.Box 3727 West Bay Diplomatic Area, Doha, Qatar
- 도하시의 동북쪽 외교단지내 위치(공항에서 20분거리)
- 전화번호 : (974) 4832238/9 (지역번호가 없고 국가번호만 있음)
- E-mail : koemb_qa@mail.mofat.go.kr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mofat.go.kr/qatar/
나. 근무시간
- 근무시간 : 07:30-14:30 (금, 토요일 휴일)
15. 재외동포현황 (2004.12월 현재)
- 진출업체(가스공사, 대우조선해양, 두산중공업, 삼성물산(건설), 쌍용정보통신, LG건설,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효종산업, 기타업체) 가족 : 180명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 당지에 주재하고 있는 진출업체로는 현대건설, LG건설, 삼성물산(건설분야), 두산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쌍용정보통신 사무소 또는 건선현장이 있으며, 차량(대우·현대·갤로퍼· 쌍용·기아), 타이어(금호·한국), 전자(LG·대우·삼성) 회사 등은 현지인이 경영하는 Agent(대리점)을 두고 있음.
- 진출업체의 경우 상주 지상사는 아니며, 특정 프로젝트가 끝나면 철수하는 현장 사무소 성격임.
17. 교통·통신·우편제도
가. 교통
- 택시 이용시 요금은 비교적 저렴하며(1㎞당 1리얄), 콜택시를 많이 이용하는 편임.
- 콜택시요금 : 기본료 3리얄 + 콜비용 1리얄 + 1리얄/km - 리무진택시 : 기본료 10리얄 + 2리얄/km
- 택시 이용안내
- KARWA 택시 Tel. 4585555 - Doha Limousine 택시 Tel. 4839999
나. 통신
- 국제전화 가입비는 QR 300이며, 시내전화 통화는 무료(3개월 기본료 : QR 100)임.한국과의 전화요금은 1분당 3.76 리얄(1,128원), 할인요금은 주중 오후 7시부터 오전7시, 금요일 및 공휴일에는 1분당 2.96리얄 (888원)임. 국제전화료는 비싼 편이며, Collect Call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 않음. PC방 등을 이용한 인터넷폰을 이용하면 저렴한 요금으로 사용가능하며, 공중전화도 이용가능
- 한국에서 카타르와의 국제통화 (국제전화 001, 002) 974(국가코드) + 희망번호(지역번호 없음.)
- 카타르에서 한국과의 국제통화 : 0 + 82 + 지역번호 + 희망번호
다. 우편제도
- 개별 주택 또는 건물별로 주소는 있으나 보편적으로 사용 되지 않고 있고, 사서함 번호에 따라 우편물이 전달되며, 개인이나 단체는 고유 사서함을 대부분 가지고 있음.
- 집배원이 우편물을 수취인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은 운영되지 않음.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 영어학원으로 British Council 및 ELS가 있으나, 수강료는 상당히 비싼 편임.
- British Council : 주2회 2시간 수업에 월 US$ 300 소요
- ELS : 매일 2시간 월 US$ 400 소요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 화재, 경찰호출, 긴급의료지원 등 긴급상황시 999를 이용하면 됨.
- 야간 의료지원은 일별순환식으로 약국이나 응급실이 운영되고 있고, 당일 신문에 해당 병원이나 응급실이 실림.
- 전기, 수도에 문제발생시 전기는 4435706, 수도는 4325959로 연락
- 전화고장시 통신자체의 문제인 경우는 무료로, 전화 본체의 파손인 경우는 유료로 카타르 통신공사에서 수리해 줌.
1. 환전
- 환 율 : US$ 1 = QR 3.63(고정 환율)
2. Tip 제도
- 관례화 되어 있지는 않으나 보통 5-10% 임.
3. 미용 및 이발
- 시내에 이발소(요금 : QR 20-30) 및 미용원(요금 : QR 100 이상)이 있으나, 국내보다 기술이 떨어짐.
4. 주재국 공휴일
- Ramadan : 이슬람력 라마단(이슬람력 9월) 30일간의 고행과 금기의 기간으로 양력으로는 매년 변동되고 약 2주일씩 앞 당겨지나 정확한 일시는 당시에 결정 하고 있는 바, 2004년도에는 10.15-11.13일이었음.
- Eid Al-Fitr : 라마단이 끝난 익일 이슬람력 샤왈(이슬람력 10월) 제 1일부터 3일간의 축일이며 공식 공휴일임.
- 축일 시작 4일전부터는 메카 순례 등을 위해 카타르 관공서는 휴무임.
- Eid Al-Adha : 이슬람력 둘히자(이슬람력 12월) 제 10-13일까지 4일간으로 공식 공휴일임.
- Muharram : 이슬람력 무하람(1월) 정초이나,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지 않음.
- 카타르 독립 기념일 : 9월 3일(공식 휴일)
5. 인터넷 사용환경
- 보편적으로 모뎀을 사용하고 있어 속도가 느리며, ISDN의 경우 속도는 다소 양호하나 제반 요금이 2배 이상이므로 최초 설치시 본인의 사정에 맞게 선택해야 하며, 최근 ADSL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사용료
- 모뎀 : 인터넷 가입비 QR 200(60,000원), 월 QR 50(15,000원) + 시간당 QR 6(1,800)
- ADSL : 속도 1M(QR 400/월), 512KB(QR 300/월), 256KB(QR 200/월)
- 설치비 : QR 199, USB 모뎀 : QR 300
* 1년 약정시 설치비, 모뎀료 무료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 은 행 : 영업시간(07:30-13:00), 휴무일(금, 토요일)
- 우체국
- 영업시간(본부 07:00-20:00, 지국 07:00-14:00, 16:00-18:00, 단, 목요일 08:00-11:00) 휴무일(금요일)
- 박물관 : 영업시간(08:00-12:00, 16:00-19:00), 휴무일(금요일)
- 동물원 : 영업시간(08:00-11:00, 15:00-20:30), 휴무일(토요일)
9. 전력사용 현황
10. 기타 참고사항
가. 의료보험 가입
- 의료 보험제도 없음. 국립병원 Hamad Hospital 진료를 위해서는 국립 병원 진료카드가 있어야 하며 동 카드발급에는 1인당 연 QR 100(US$ 28) 소요
나. 면세제도
- 카타르는 담배(100%) 등 일부품목을 제외하고 대체로 5% 정도 관세만 부과하고 특별한 면세제도는 없음.
- 2003.1.1일부터 GCC관세동맹(Customs Union) 발효로 GCC회원국 6개국의 공통관세 적용(국별로 일부 품목 예외 적용)
다. 여가생활
- 낚시, 수영, 테니스, 스쿼시, 해양스포츠 등을 즐길 수 있으나, 40℃ 이상의 혹서기간 (5-9월) 및 제반여건상 여가생활에 제약이 많음.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시설 사용도 남녀가 구분되어 있어 불편)
- 호텔 Membership 이용도 가능(가족회원 년 950-1,400불 정도).
- 국제적 규모의 천연 잔디 Golf장이 96년 하반기 개장되었으나, 입장료 및 연회비는 비싼 +편임. 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