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시 명 : 상하이시는 唐代(618-907년)의 무역항으로 남송(1127- 1279년) 중기에
상하이로 명명
- 위 치 : 북위 31°14′동경 121°30′
(揚子江 河口의 三角洲에 위치하며 黃浦江이 市內를 관통)
- 기 후 : 북아열대 온순기후, 연평균기온 17.6℃, 연평균 강우량 1,200㎜,
여름(5월-10월)은 후덥지근하고 대체로 6월중순부터 1개월 정도는 , 장마철(梅雨), 겨울(12월-2월)에는 종종 영하로 내려가는 추위가 간헐적으로 계속됨. 봄, 가을은 비교적 짧은 편임.
- 면 적 : 6,341㎢ (중국 전체 0.06%)
- 서울특별시(605㎢)의 10.5배
- 주요언어 : 중국어(상하이 사람끼리는 방언인 상하이어 사용)
- 약사
- 상하이는 아편전쟁(1840-42년) 종결후 체결된 남경조약(1842년)에 의하여 외국에 개항함. 1845년 영국 조계, 1848년 미국 조계가 설치되고, 1863년에는 양자가 합병하여 공동조계가 됨. 공동조계 남쪽에는 불란서 조계도 있었으며 1949.5월 해방됨.
- 1842년 남경조약에 의한 개항후, 영.미.불의 조계설치로 외국자본의 중국 진출
교두보가 되고 1930년대에는 아시아지역 최대의 국제도시로 발전
- 1949.10월 중국 공산화 이후에도 중국 최대의 무역항, 공업 및 과학기술기지,
최대의 재정수입원(80년대 중반까지 중앙정부 연세 수입의 1/4을 상하이가 부담)으로서 중국 경제의 주도적 역할 수행
- 중국공산당 탄생지(1921년), 문화대혁명의 진원지 및 4인방의 근거지였으며,
근래에는 강택민 전총서기, 주용기 전총리, 오방국, 이남청 전부총리 등 중앙 지도자를 배출함으로써 또 다른 의미에서의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이며 현재 43개 외국공관이 상주 중임.
1. 사증(비자)
- 우리나라와 중국과는 사증면제협정이 체결되어 있지 않아 방문 목적에 따른
사증을 주한중국대사관(또는 부산총영사관)에서 발급받아야 함.
- 주한중국대사관
- 서울시 종로구 효자동 54번지
(Tel : 738-1038, Fax : 738-1077)
(홈페이지 : www.chinaemb.or.kr)
- 영사과 : 서울시 종로구 교보빌딩 9층
(Tel : 738-1173(사증), 738-1194, Fax : 738-1174)
- 주부산중국총영사관
- 부산시 해운대구 우 2동 1418(612-022)
(Tel : 051-743-7983, Fax : 743-7987)
2. 식품
- 소규모 한국 식품점도 몇 곳 있고, 까르푸 등 대형 슈퍼마켓에 한국제품이 많이
나와 있음.
3. 건강진단
- 현지의 의료기관들은 일부병원(화동병원, 용화병원)에서 외래진료가 가능하나
현지인에 비해 의료비는 비싼 편임.
- 최근 한국인 전용 의료센터가 몇 곳 생겨나고 있어 언어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음.
- 상하이 의사들은 일반적으로 중의와 양의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
에게 양쪽 약을 치료약으로 함께 권장하기도 함.
4. 기후 및 의복
- 겨울날씨는 습도가 많고 바람이 거세어 비교적 추움.
- 간단한 난방기구를 가져오면 편리하며 방한복 필요(현지 구입도 가능)
※ 동절기(매년 11월 ~ 익년 2월) 최저기온 : -5.2℃ (2003년)
- 여름날씨는 매우 무더운 편이나 오피스빌딩 사무실은 비교적 냉방이 잘 되어있는
편임. ※ 하절기(매년 5월 ~ 8월) 최고기온 : 39.6℃ (2003년)
- 겨울코트, 양복 등 정장은 서울에서 준비하는 것이 좋으나, 간소복(예: 골덴바지,
진바지, T셔츠 등)은 상하이에서 값싸게 구입할 수 있음.
5. 이사화물
- 전기 및 전자제품
- TV 및 Video : 625 주사선 방식의 중국 PAL 방식
- 전기시스템 : 220V/50㎐
- 한국 전자제품의 경우, 컴퓨터, 오디오제품, TV(multi system)등은 문제가 없으며, 10V용 제품인 경우 가정용 변압기가 필요함.
- 가구, 비품 및 장식품
- 주택 furnished 여부 : 외국인 거주용인 경우 기본가구(냉장고, TV, 침대, 쇼파 등)가 비치되어 있음.
- 한국과 현지가구 가격비교 : 현지 생산된 일반가구는 품질이 대체적으로 조악한 편이며, 디자인 및 품질이 수입제품과 비 슷한 가구도 시중에 많이 출하되고 있으나 가격은 다소 비싼 편임
- 상하이시에 출하되는 각종 제품은 양과 질적인 면에서 빠른 향상을 보이고 있음.
- 기타 필요 물품
- 화장품, 가정상비약, 개인의류, 신발 등 일상용품은 이사짐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음.
- 된장, 고추장, 고추가루 등은 현지에서도 구입이 가능하나 가격이 비싸므로 구입하여 오는 것이 좋음.
-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 Door to Door, Door to Port 모두 가능 (서울의 이사업체와 상의)
6. 각종 증명서
- 자동차운전면허증
- 한국면허증 또는 국제면허증 소지 요망
- 국제면허증을 소정의 절차(상세는 Ⅲ의 4항 참조)를 걸쳐 중국면허증 획득 후 사용 가능
- 자녀입학 관련서류(상세는 Ⅲ의 3항 참조)
- 재학증명서 또는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영문)가 필요 하며, 9월부터 신학 기가 시작됨.
7. 기타
- 사진 : 신분증, 운전면허증 신청시 사진이 다수 필요(대부분의 경우 반명함
크기이며 자녀 학교입학신청시 특히 필요함)
- 도착전 상하이에 대한 사전지식 획득방법
- 국내서점에 중국관계 여행안내서 등이 있으며, 정치, 역사, 문화, 경제 관련 서적도 상당수 발간되어 있음.
- 중국어 전공자가 아니면 학습할 책과 참고서 등을 적절히 구입, 준비해오면 편리할 것이나, 현지에도 외국인용 서적이 다수 있음.(중국어 개인교습 1시간 : ¥50∼100)
1. 주택
가. 외국인 거주제한 여부 : 거주제한 없음.
나. 주요 거주지역
- 상하이는 위치상 크게 푸동과 푸서지역으로 구분이 되는데 한국인들은 주로
푸서 지역의 구베이(古北), 롱바이(龍柏), 완커(萬科)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주변에 한국인 관련 각종 편의시설 (미용실, 학원, 상가, 커피숍 등)이 밀집함.
다. 주택형태 : 아파트나 빌라
2. 식품
- 한국식품
- 소규모 한국식품 전용점이 몇 곳 있으나 진열된 식품이 많지 않음.
- E-MART, 까르푸 등에 한국식품이 많이 진열되어 있고 고추장, 된장, 고춧가루, 김, 미역, 라면 등 우리식품을 슈퍼마켓에서 판매하기도 함.(가격은 2배 정도임)
- 일본식품 등 세계의 상당수 브랜드가 상점에 진열되어 있음.
- 기 타
- 쌀, 콩 등 곡물과 생선, 야채, 과일 등은 현지시장에서 국내가격보다 훨씬 저렴 하게 구입 가능
3. 교육
가. 초·중·고등학교 교육
(1) 한국계 학교
- 상하이한국학교(교육부 인가)
- 2003.10 현재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운영(99.9.1 개교)
- 학생수 : 430명
- 전화번호 : 6493-8038
- FAX : 6493-8011
- 엔젤유치원(한인교회 후원)
- 학생수 : 150여명
- 전화번호 : 6461-6960
- 주말한글학교 (93.8.7 개교)
- 수업시간 : 매주 토요일 오전
- 주요 교과목 : 국어, 수학, 국사교육
- 전화번호 : 6493-8038
(2) 국제학교(한국인이 많이 다니는 학교)
- Shanghai American School (유치원∼고등학교)
- Shanghai International School (초등학교∼고등학교)
- Singapore International School (유치원∼중2)
학 교 명 |
Shanghai American
School |
Shanghai Int'l
School |
上海中學國際部 |
Singapore
Int'l School |
연 락 처 |
Tel:6221-1445
Fax:6221-1669 |
Tel:6242-3243
Fax:6242-7331 |
Tel:6476-5516
Fax:6453-5008 |
Tel:6221-9288
Fax:6221-9188 |
학 제 |
유치원,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유치원,초등학교
중학교, |
초등학교 4-5,
중학교,고등학교 |
유치원,초등학교,
중1∼2 |
학 교 명 |
Shanghai American
School |
Shanghai Int'l
School |
上海中學國際部 |
Singapore
Int'l School |
학 기 |
매년9월 시작
(상·하반기로 구분)
|
매년9월 시작
(가을,봄,여름 학기로 구분) |
매년9월 시작
(상·하반기로 구분)
|
매년9월 시작
(상·하반기로 구분)
|
연간 학비 (US$)
※ 매년 변동 |
유 치 원 : 11,500
초등학교 : 18,500
중학교1∼3년 : 19,000
중학교4∼6년 : 20,000 |
유 치 원 : 17,000
초등학교 : 17,500
중 학 교 : 18,000
|
초등4∼5년 : 8,000
중 학 교 : 8,600
고등학교 : 9,000
|
유 치 원 : 7,000
초등1∼3년 : 8,000
초등4∼6년 : 10,000
중 학 교 : 12,000 |
교 육
언 어 |
영어, 중국어(선택) |
영어, 중국어 |
영어, 중국어(선택) |
영어, 중국어 |
입학신청
구비서류 |
· 신청서
· 건강진단서
· 이전학교의 재학 및 성적증명서 (영문)
· 여권사본, 사진2
· 동반가족 상하이
거주증명서 |
좌동 (사진 4) |
· 이전학교의 재학 및 성적증명서 (영문)
· 여권사본 |
. 신청서
. 여권사본
. 사진2
. 부모사진 각1 |
입 학
시 험 |
영어 |
없음 |
· 구두시험
· 중1,2 : 영어, 중국어, 수학
· 중3,고등 : 영어, 중국어, 수학, 물리 |
없음 |
기숙사 |
없음 |
없음 |
400/학기 |
없음 |
나. 대학교 교육
- 학제개요 : 대학과정은 4년제이며, 학기는 9월 시작
- 입학요건 : 중국에서 실시하는 소정 입학시험에 합격하여야 함.
- 입학구비서류 :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추천서
- 어학연수과정 : 복단대, 상하이사범대학, 화동사범대학 등에 중국어 어학과정
(6개월, 1년)이 있음.
- 국가중점대학교 (6개소)
- 復旦大學 (북경대학, 청화대학과 함께 중국 3대 명문대)
- 上海交通大學 (공학위주, 강택민 주석 출신교)
- 同濟大學 (특히 건축학과가 유명)
- 華東理工大學, 華東師範大學, 上海外國語學院
※ 그 외에도 上海財經大學, 華東政法大學, 上海大學 등이 있음.
4. 자동차
가. 구입 및 등록방법
(1) 중국산 자동차 구입시 소요비용
① 출하가격(出廠價)
② 차량구입부가세(車輛購置附加稅) (보통 출하가격의 10%)
③ 특별소비세(特別消費稅) (구입 자동차에 따라 다름.)
④ 영업세(營業稅)와 경영관리비(經營管理費) (차량판매 회사에 따라 다름.)
⑤ 기타 조립 비용(其他裝置費) (차를 사는 사람의 요구에 따라 다름.)
⑥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면 자동차 판매회사에 문의하는 것이 좋음.
(2) 수입자동차 구입시 소요비용
① C.I.F 가격
② 관세 : 배기량(排氣量)은 3L이하(3L포함하지 않음)라면 세율이 45%, 3L이상이라면 세율이 55%. 관세는 C.I.F가격*세율
③ 소비세 : 排氣量은 1.0L이하라면 3%, 1.0~2.2L 5%, 2.2L이상이라면 8%. 내는 소비세는 (C.I.F 가격+관세)/(1-소비세율)*소비세율
④ 증치세(增値稅) : 세율이 17% 라면 증치세는 (C.I.F가격+관세+소비세)*17%
⑤ 통관비용(通關費用)
⑥ 상검비용(商檢費用)
※ 이상은 수입산지에서 지불해야 하는 가격임.
⑦ 운수비용(運輸費用)
⑧ 은행비용(銀行費用)
⑨ 선장가격(選裝價格)
⑩ 기타비용(其他費用) : 차량구입부가세(車輛購置附加稅), 특별소비세 (特別消費稅), 영업세(營業稅), 전항비(轉港費), 경영관리비(經營管理費), 기타 조립비용(其他裝置費用) 등
나. 자동차 보험
- 주요 보험회사
- 華泰 재산보험회사 : 6875-6699
- 太平洋 보험회사 상하이지사 : 6677-9900
다. 자동차 등록과 차량번호 신청방법
(1) 중국투자 법인대표의 경우 : 등록자금이 50만달러 이하 이면 자동차 번호판 2대, 50만달러 이상이라면 2대 이상 무료로 부착가능하며, 그 절차는 아래와 같음.
① 차량구입 자료(영수증을 포함, 모두 중국어로 번역 필요), 투자회사에 대한 모든 증빙서류(예: 법인등기부등본, 사업자등록증, 법인대표의 신분증 등) 준비
② 회사 소재지의 차량등록관리처(車管所)에 가서 신청표에 기입하고 차량구입 부가세를 냈던 증명서를 받음.
③ ①, ②의 자료를 준비해 법인대표 본인이 차량을 몰고 포동에 있는 차량등록 관리처에 가서 자동차를 검사를 받은 후 자동차 번호판과 통행증을 배부받음. (수수료 필요)
- 포동 車輛登記管理所
- 전화 : 5812-3456
- 주소 : 南公路 2638號
- 근무시간 : 8:30∼11:30, 1:30∼4:30(월~목)
(2) 주재원의 경우 : 중국사람이 보증을 서야 자동차 번호판을 살 수 있음.
- 참고 웹사이트: www.shanghai.gov 또는 www.shanghai.gov.cn
라. 운전 면허증을 바꾸는 방법
(1) 준비서류 : 여권; 외국인 거류증(원본 및 복사본), 원래 있는 운전 면허증 혹은 국제 운전 면허증(원본 및 복사본, 특정기관의 중국어 번역본 필요)
(2) 절차 : (1)의 서류를 가지고 交警總隊 車輛登記管理所에 가서 접수
- 사진촬영, 신체검사, 필기시험, 현장시험(운전경력 3년미만자)을 거쳐 발급됨
(발급에 약 일주일 소요)
- 車輛登記管理所 : 전화 6516-8168, 주소 中山北一路 1101號
ㅇ 번역기관 : 상하이 외국어대학교(譯總公司) 6531-1900(#2360) 西體育會路 189號
(3) 유의사항 : 자동차, 운전면허증은 일년에 한번씩 검사를 받아야 함.
※ 상기의 절차와 비용들은 지역 또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바랍 니다.
- 교민지 상하이저널 144호에서 발췌 -
5. 이사화물
- 이사화물과 자동차의 경우, 상하이 세관(海關)의 통관수속 절차가 복잡한 편으로
이사 업체를 통하여 처리함.
6. 공항
- 포동국제공항(99.9월 개통)
- 국제선 전용(단, 국내선 일부 사용)
7. 쇼핑
- 우의상점, 이세탄 백화점, 태평양 백화점, 동방상사 등 백화점이 다수 있음.
8. 식당
- 주요 한국음식점
- 한 강 : 銀河賓館 1F,6219-8883
- 제주도 : 延安西路 65號 國際貴都大飯店 3F, 6248-7785
- 한국관 : 新虹橋俱樂部 3F,6270-6317
- 종 가 : 虹橋路 1665號 洛城廣場 3樓, 6209-7569
- 고 궁 : 水城南路 37號 萬科廣場 3樓, 6209-9191~2
- 금 교 : 延安西路 2077號 210室 金橋大厦,6270-9082
- 덕수궁 : 虹橋路 1448號,6219-3747
- 득 원 : 安龍路 457號,6262-5835
- 삼다도 : 虹橋路 1650號,6208-0861
- 아리랑 : 江蘇北路 28號,6252-7146
- 청기와 : 安龍路 691號,6290-6815
- 함지박 : 榮華東道 39-45號 里昻花園 1F,6295-7873
- 부산횟집 : 虹橋路 1900號 新苑賓館 E棟,6242-5785
- 신은하수 : 虹橋路 2394號,6268-9028
〔포동지역〕
- 포 향 : 世紀大道 1600號, 6875-0077
- 우래정 : 浦東南路 1818號,6875-2648
- 운 룡 : 浦電路 341號,6875-0752 (삼계탕집)
9. 호텔
- 4성급 이상인 경우 대체로 괜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음.
- 숙박료 : 숙박료는 US$ 129(4성급)∼200(5성급) 수준이나, 계절마다 10∼30% 할인됨.
- 주요 호텔
- 銀河(Galaxy)賓館: 6275-5888
- 虹橋(Rainbow)賓館: 6275-3388
- 太平洋(Westin)大酒店: 6275-8888
- 新亞湯臣국제(Inter-continental)大酒店: 5831-8888
- 上海浦東假日(Holiday Inn)酒店: 5830-6666
- 錦江(Jin Jiang)飯店: 6258-2582
- 新錦江(New Jin Jiang)大酒店: 6415-1188
- 波特曼(Portman Ritz-carton): 6279-8888
- 靜安希而頓(Hilton)大酒店: 6255-0000
- 華亭(Sheraton)飯店: 6439-1000
- 國際貴都大酒店: 6248-1688
- 浦東香格里拉: 6882-8888
- 花園飯店: 6415-1111
- 上海金茂凱悅飯店: 5047-1234
10. 관광
가. 상하이 임시정부청사
- 소재지 : 盧灣區 馬當路 306弄 4號(Tel : 5382-9554)
- 형태 및 규모 : 연립주택형 3층, 연건축면적 145㎡
- 1932년 임정이 상하이를 떠난 후 중국인이 인수, 거주해 오다 '88 서울올림픽후
한국인 방문객이 늘어나자, 상하이시 당국은 '90.2 노만구 문물보호 중점 174호로 지정하고, '93.4 한국과의 협력하에 복원, 보존 관리하고 있음.
- 독립기념관측이 US$ 56만을 투입, 2002.1 -10월간 확장 보수공사 실시
(현재 대지면적 244㎡, 건평 총 사용면적 483㎡)
- 개방시간(입장료 15元)
- 월 : 12:30∼17:00
- 화∼일 : 09:00∼17:00
나. 노신공원(옛 홍구공원)
- 중국 근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노신의 기념관 및 묘지 소재
- 1932.4.29 일본침략군이 상하이사변 전승축하식 겸 일본 천황 생일축하 의식을
거행하던 현장에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투척, '시라가와' 사령관 등 일본의 주요 지휘관들을 응징한 의거현장(공원의 북서쪽에 소재)
- 94년 기념정자(梅亭) 건립, 94.8.18「梅園」이라고 명명한 안내판을 정자 입구에서 약 50m지점에 설치
- 98.4월 의거내용을 설명하는 기념비 건립
다. 예원
- 명대 四川 布政司 潘允端가 부친 潘恩을 위해 1559∼1577년간 건축한 상하이의
대표적 고전 정원
- 10개의 연못과 大戱臺 등 30개의 누각으로 구성된 명대의 예술건축군
- 중국 전통 장식품, 茶器, 실크 등을 판매하는 예원 상업구와 인접
라. 옥불사
- 光緖年間 건축, 석가모니 옥불좌상과 와상이 유명하며 절내에 上海佛敎學院이
소재
- 개방시간 : 08:00∼12:00, 13:00∼17:00
마. 동방명주탑
- 외탄 맞은편 포동강변에 소재하고 있는 아시아 최고, 세계 제3위의 방송탑
(총높이 468m)
- 3개소 전망대 입장표가 높이에 따라 다름.
(최고높이: 100元, 중간높이 65元, 저높이(263m) 50元)
- 주소 : 陸家嘴金融貿易區 504弄(Tel : 5879-1888)
※ 上海歷史發展陳列館(方明珠塔內 地下 1層, Tel : 5879-1888)
- 상하이 근대 100년 발전사를 엿볼 수 있는 박물관
- 개방시간 : 09:00∼21:00(입장료 20元)
바. 외탄
- 포동육가취 금융무역구의 맞은편인 포서쪽 1.7㎞ 길이의 강변
- 외탄공원에서 1840년 서구열강이 건축한 포서쪽 금융建築群과 1978년 이래
개혁 개방의 상징인 포동의 금융무역구 建築群을 동시에 관광 가능
- 개등시간(하절기 19:00∼22:00, 동절기 19:00∼21:00)
11. 종교활동
- 개신교
- 한국인 목사 주재로 상하이한인연합교회에서 중국 교회당을 빌려 주일 (1부 08:30, 2부 10:00, 3부 12:30, 4부 14:30) 예배를 보고 있으며, 신도수는 약 2,000명 정도
- 천주교
- 한국인·외국인 신부 공동 집전으로 天主敎 君王堂에서 미사 봉헌 (토요일 17:00∼18:00)
12. 언론매체
- Radio, TV 방송국 : 상하이 라디오, 상해TV, 동방TV, 교육TV 방송국 등 다수
- 신문 : 해방일보, 문회보, 신민만보, Shanghai Daily가 있으며, 영자 주간지
Shanghai Star지가 있음.
13. 치안상태
- 상하이시는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인 관계로 중국내 에서 치안상태가
좋은 편임.
14. 한국총영사관
가. 주소 및 연락처
- 60 Wanshan Rd., Shanghai(200336)
나. 근무시간
- 근무시간 : 09:00 - 17:30 (점심시간 : 12:00-13:30)
- 영사과 : 09:00∼16:30 (점심시간 : 11:30∼14:00)
15. 재외동포 현황
- `92.8 한.중수교 이전에는 일부 기업, 지사원 약간명이 주재할 뿐이었으나,
수교이후 우리기업의 진출확대 및 방문객 증가로 상하이 한국인 사회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음.
- 교민현황 : 금융 및 지·상사, 투자업체 등 주재원 및 가족포함 1년 이상 장기거류자
약 20,000명 정도임.
- 유학생 : 3,500명 내외 (어학연수자 포함)
※ 상하이시 인근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 지역의 체류자는 약 2.5만명 정도임.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 산업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외환은행, 현대증권, 대우증권 등의 금융권과
삼성, 현대, LG, 포철, 대우, 선경, 효성, 쌍용, 한라, 코오롱 등 거의 모든 국내 대기업이 진출해 있음.
- KOTRA(중국본부), 무역협회, 수출입보험공사 등도 진출해 있음.
17. 교통, 통신(인터넷), 우편제도
- 교통수단
- 내륙여행 및 출장시 주로 항공편을 이용하나, 관할지역 출장은 보통 자동차 이용
- 상하이시내는 Taxi 이용에 별 어려움 없음. (Call Taxi 제도도 있음)
- 통신 및 전화제도
- 국제전화요금은 한국보다 비싼 편임.
- 시내곳곳에 공중전화가 설치되어 있음.
- 인터넷 사용에 전혀 문제없음(단, 속도는 국내보다 다소 느린 편)
- 우편제도
- DHL도 이용할 수 있고, 일반우편도 비교적 믿을만 함.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 주간에 화동사범대와 복단대 등 주요대학내에서 운영되는 중국어 어학과정
강좌를 수강할 수 있음. (야간과정은 없음)
- 그외에 중국어 선생을 초빙하여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음.
(시간당:¥50∼100)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 주상하이총영사관의 24시간 가동중인 Hot-Line 서비스를 이용, 응급시 대처
가능
- Hot-Line : 1381-650-9503, 1381-650-9504(핸드폰)
1. 환전
- 중국계 은행 및 아국계 은행인 우리은행 지점에서 환전 가능
- 공항과 호텔에서 환전할 수 있음. (환율은 은행과 같음)
- 환율 : US$ 1 = 8.28元(2004.2월 현재)
2. Tip 제도
- 호텔의 경우 15%의 Service Charge가 부과되어 별도 Tip을 줄 필요는 없음.
(단, 방 청소원을 위해서 US$ 1(¥8)정도 놓고 나올 수 있음)
3. 미용 및 이발
- Hotel이나 유명백화점의 남여공용 미용실을 이용하면 괜찮은 수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4. 공휴일
- 원단(1.1), 춘절(음력 1.1, 중국 최대의 명절), 노동절(5.1), 국경절(10.1)
※ 원단 제외 3개의 기념일은 7일간 공휴
5. 인터넷 사용 환경
- China Telecom(中國電信)의 ADSL을 이용할 수 있으며 월 사용료는
월 20,000원(한화) 수준임.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 한국신문 구독 가능함. 단, 1개월 구독료가 ¥300임.
(Tel. 6234-3235)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 통상 오전 09:00에 시작하여 오후 5:00까지 이용 가능
- 은행은 토요일, 일요일 휴무이나, 우체국은 토요일 오전까지 근무
9. 전력사용 현황
- 220V 사용
- 110V 제품의 경우 변압기 사용 필요
10. 기타 참고사항
- 상하이시에는 임시정부청사 및 윤봉길의사 의거장소가 있고, 주변지역에도
관광 유명지인 소주와 항주가 있어 한국인 관광객이 많은 편임.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