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투자유망국 투자환경 비교

2015. 1. 7. 11:04캄보디아 개요

 

캄보디아 외국인 투자동향

 

1) 외국인 투자동향

 

□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직접투자
ㅇ 꾸준한 중국의 투자, 감소하는 한국의 투자
- 한국은 약 8180만 달러(12년 비 -69.9%)로 크게 감소하며 6위를 기록, 8520만 달러를 투자한 대만(12년 비 -10.9%)이 5위를 기록함
- 중국은 약 4억4850만 달러로 1위(12년 비 +70.1%), 베트남이 2억 4150만 달러로 2위(12년 비 +180.8%), 홍콩이 1억980만 달러로 3위, 영국이 8890만 달러로 4위(12년 비 +261.3%)를 기록함

□ 꾸준한 봉제업 투자
ㅇ 한국은 2012년 초까지 투자가 활발했지만 현재는 주춤한 상태임
ㅇ 중국계 기업의 신규진출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ㅇ 인근 경쟁 국가의 인건비 증가로 캄보디아로 투자가 집중되고 있음
- 계속되는 인건비 상승 및 인프라 부족으로 인하여 투자가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

 

< 봉제 및 섬유기업 진출 수 >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9월) 

 가입 수 (개사)

 391

590 

648 

 증가율 (%)

 -

 50,8

9,8 

출처 : Gar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in Cambodia (GMAC)

 

ㅇ 매년 증가하는 관광객
- 앙코르와트가 소재한 씨엠립으로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관광과 관련된 업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해양 관광지에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관광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캄보디아 관광객 증가 추이>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관광객 수(명)

2,508 ,289

2,881,862  

3,584,307  

 4,210,165

증가율(%) 

 16.0 

 14.9 

 24.4 

 17.5 

 수입(백만 달러)

 1,786  

 1,912  

2,210  

 2,547

 출처 : Ministry of Tourism <TOURISM STATISTICS REPORT 2014. 8 >

□ 산업별 상이한 투자 지역

ㅇ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중심, 프놈펜
- 인력수급이 용이하고, 물류 및 인프라 현황이 양호한 프놈펜을 중심으로 제조업이 집중되고 있음
- 대부분의 사무실 및 서비스업은 프놈펜 중심으로 진출하고 있음
캄보디아의 농촌지역 인구가 71%에 달하고 있어, 주요 국도변을 따라 지방 도시로 봉제공장 설립 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ㅇ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농업투자
- 농업은 특정지역에 제한되지 않고 캄보디아 전국에 걸쳐 진행되고 있음

ㅇ 대도시에 집중되고 있는 건설업
- 최근 일본과 중국에서 캄보디아에 공적원조 및 기업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이에 따라 고층 건물들과 현대식 건물들에 대한 투자가 대도시 위주로 집중되고 있음

 

2) 국가별 투자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순위

 국 가

2009 

 2010  

2011 

 2012

 2013

  총 계

 1

중국 

893 

694 

1,193 

264 

449 

3,492 

 2

영국

            -

 82

222 

25 

 89 

2,344 

 3

한국 

 121

1,027 

144 

272 

82 

1,646 

 4

 베트남

 210

 115

631 

86 

242 

1,283 

 5

 홍콩

 7

 27

331 

114 

110 

590 

 6

 싱가포르

 272

 37

14 

83 

55 

461 

 7

 말레이시아

 7

172 

235 

0,12 

420 

 8

 대만

27 

91 

82 

96 

85 

381 

 9

 태국

178 

123 

32 

335 

 10

 일본

210 

25 

246 

 

 

  출처 : The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Cambodia (CDC)

□ 일정하지 못한 연도별 투자 금액

ㅇ 2011년 이후 투자 규모 감소
- 중국, 영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주요 투자국들의 투자규모가 2011년을 기점으로 큰 폭으로 하락
- 일본, 태국, 싱가포르의 경우는 오히려 큰 폭으로 상승
- 대만은 가장 꾸준한 투자규모를 보이고 있음

□ 감소하는 한국의 투자
ㅇ 2010년 이후 하락세
- 2010년 제조업의 많은 투자가 있었지만, 이후에는 추가적인 투자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
- 캄보디아의 불안한 정세여파로 투자심리 위축이 투자액 감소요인으로 파악

 

□ 눈에 띄는 영국의 투자
ㅇ 유럽 국가 중 유일하게 투자 규모 상위 10개국에 진입
- 영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모두 아시아 국가
- 2011년에는 가장 많은 약 20억$ 투자

3)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출처 : CDC

 

 산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관광

 3,884

132

 589

 897

1,875 

 호텔

 17

 118

 303

35 

105 

 여행 센터

 3,867

 14

 286

861 

1,770 

 농업

 598

 496

 725

526 

1,080 

 농업

 -

 278

 6

 농산업

 565

 167

 719

472 

1,075 

 농장

 33

 51

 -

54 

 산업

 819

 771

 579

769 

1,346 

 건축자재

 5

 -

 15

 시멘트

 -

 -

 -

 에너지

 662

 490

 107

55

781 

 식가공

 -

 7

 -

 봉제

 121

 173

 447

669 

553 

 석유

 -

 8

 -

 목재가공

 10

 -

 -

 전기

 -

 -

 -

31 

13 

 광업

 18

 92

 9

 담배

 3

 -

 -

 

 서비스

 331

 982

 567

-

 운송

 -

 973

 -

 금융

 -

 -

 -

 통신

 235

 9

 567

 의료

 -

 -

 -

 건축

 96

 -

 -

 그외 산업

 228

 316

 4,551

83 

189 

 총계

 5,859

 2,697

 7,010

2,275 

4,495 


□ 산업별 균일하지 못한 투자액
ㅇ 농산업, 봉제, 관광, 에너지 산업에 투자 편중
ㅇ 비교적 꾸준한 투자규모를 보이고 있는 봉제업

□ 가장 큰 비중의 관광산업
ㅇ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
- 2009년 대비 급격히 하락했지만, 꾸준히 투자 규모를 늘리며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관광업의 성장으로 주변 산업(건설업, 요식업, 건축자재 등)까지 견인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고 있음

4) 현지 주요 투자이슈

ㅇ 상승하는 최저임금
- 2014. 11. 12.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2015. 1. 1.부로 수습기간에는 123달러, 수습기간 이후에는 128달러를 지급하도록 결정됨.
- 2014. 11. 14. 훈센 총리의 발표로, 수습기간 관계없이 최저임금을 128달러로 결정됨. 이는 2014. 2. 1.에 결정된 최저임금(100달러) 보다 약 28%가량
인상된 금액임
- 근로자들은 최저임금이 128달러로 결정됨에 따라, 반드시 지급되는 수당을 합치면 약 144달러 이상을 수령할 수 있음
- 144달러 정도는 인근 국가인 베트남(2~3지역)과 동일한 수준이지만, 생산성은 약 30%가량 차이가 나는 수준으로, 물류환경 및 행정환경을 따져본다면
생산성 대비 경쟁력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

- GMAC(Gar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in Cambodia)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10달러 이상이 되면 상당수의 공장들이 철수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음

ㅇ 노동력 부족 현상
- 봉제업을 중심으로 일부 관광, 농업 분야에서도 노동력 부족현상 발생
(2008년 19.5 %였던 도시화율이 21.4 %까지 상승)
- 외국계 공장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투입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
봉제업의 경우 약 10%이상의 노동력이 부족한 상황, 특히 주요 도시 및 공단에도 투자기업 증가로 노동력 부족현상 심화
- 노동력 부족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임금(특히 일용직의 일당)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음. 농촌 및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의 임금은 약 15%~20% 정
도 상승하였음.

ㅇ 관세 개혁인한 수입제품 가격 상승
- 2013. 7. 총선 고전으로 인해 훈센 총리는 강력한 개혁을 주창하였으며, 그 첫번째 대상은 관세청 개혁임
- 2014년 1월부터 관세청의 감독이 강화되어 통관비용이 증1. 대표적인 예로 중고 자동차 부품 수입상들에 따르면, 기존의 40ft 기준의 관세 포함한 통관비가 약 8000달러에서 개혁 후는 2만 달러로 증가하였음. 이로 인해 각종 중고 수입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수입이 감소하였음.
- 베트남이나 태국에서의 밀수도 감소하게 되어, 한국 제품의 반사적인 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ㅇ 격화되는 토지분쟁
-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개발을 위해 93년부터 120만 헥타르의 Economic Land Concession(경제적 토지양여)을 기업에 제공해 왔으며 이는 기존 주민
들과의 토지분쟁을 발생시킴.

- 토지 분쟁은 외국계 기업과 현지기업 모두에게 발생. 대표적인 토지분쟁은 프놈펜 시내의 벙꺽호수 매립지 토지분쟁과 사탕수수농장 토지분쟁이있음. 모두 현지 대기업의 토지분쟁으로 기존의 주민들을 강제퇴거함으로써 발생,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점점 심해지는 양상을보이고있음.
- 전국적으로 토지분쟁이 이슈화되자 총리는 작년 선거 전, 신규 Economic Land Concession(경제적 토지양여) 허가를 금지시킴

ㅇ 국세청의 징수 강화 움직임
- 상당부분의 국가예산을 원조로 충당하는 캄보디아 정부는 세수 증가를 위해 징세 시스템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더불어 국세청 전산화를 진행하고
있음(JICA 지원)
- 기존의 징세 방식에 익숙한 우리 투자기업들은 상기와 같은 징세 강화 움직임에 대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

5) 현지 투자환경 전망

➀ 부정적 요인

ㅇ 규제강화로 인한 투자 감소 우려
- 관세청 개혁을 통한 통관비용 증가, 징세 시스템 강화로 기존 진출기업의 증액 투자가 부진할 수 있으며, 노동문제, 토지분쟁 등의 사회문제로 인해 관련 규제가 강화됨으로써 관련 산업의 투자 감소 예상

ㅇ 노동집약적 산업 투자환경 악화
- 2015년부터 최저임금이 28% 상승함에 따라 기존 봉제공장의 수익구조 악화
- 임금상승으로 인해 수익구조가 약화된 영세한 봉제공장과 하청공장의 타 국가 이동이 늘어 수출오더를 대부분을 대형공장이 직접처리하게 되면서
대형공장의 추가 공장 설립이 예상됨.

- 기존의 봉제 제품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봉제 제품 제조기업의 산업의 투자 확대가 예상되며, 봉제기업의 숙련 유휴 인력을 활용한 비봉제 제조업 투
자 확대가 예상됨.

➁ 긍정적 요인

ㅇ 내수시장 타깃의 투자기업의 진출 확대

-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해 현지인의 구매력이 증가하게 되어 내수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투자기업의 진출이 확대 될 것으로 전망

ㅇ 대기업 진출 가능성 증가
- 캄보디아 정부의 개혁 노력과 규제강화를 통한 제도개선 노력으로 시장불확실성이 감소하게 되어 안정성을 중시하는 대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

 

캄보디아 주요도시 투자환경

➀ 투자대상지로서의 장단점

□ 투자 장점

ㅇ 높은 경제적 자유도

 구분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라오스

중국 

 한국

 순위

 108

 162

 147

 144

137 

31 

 평점

 57,4

 46,5

 50,8

51,2

 52,5

71,2

 변동

 -1,1

 +7,3

 -0,2

+1,1 

 +0,6

 +0,9

 

출처 : Heritage Foundation "2014 index of Economic Freedom

- 캄보디아 국내기업과 동등한 대우
- 대부분의 사업을 외국인 투자대상으로 개방

ㅇ 경제성장의 역동성
- 꾸준한 GDP 성장과 경제성장률(평균 6.5%, 2010~2013년 까지)
- 안정적인 물가상승률(평균 5%)

ㅇ 선진국 특혜관세 수혜
- EU : 무기를 제외한 전 품목 면세 및 수량제한 철폐
- 미국 : 4,800 품목 면세, 원산지 기준 아세안회원국산 포함
- ASEAN : 선발 6개국으로부터 특혜관세 적용
-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무관세 적용

 

ㅇ 저렴한 인건비, 풍부한 단순 노동력
- 2010년 기준 30세 이하가 전체의 60%이상 이며 매년 25만 명의 노동 가능 인구가 유입
- 2015년 1월 기준 최저임금은 128달러로 인근 국가보다는 저렴하나 계속되는 임금인상 으로 인하여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

ㅇ 정치적 안정
- 2013년 7월 총선이후 불안한 정세가 계속 이어지다가 2014년 초부터 안정화되고 있음
- 2013년 말부터 2014년도 초까지 진행된 봉제업 노동자들의 최저임금 인상
요구 시위와 파업과 더불어 유혈사태까지 발생하여 불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으나 최근 진정됨

ㅇ 투자 인센티브 보장
- Tax Holiday or Special Depreciation
(최장 9년간 법인세 면제(법인세율 20%), 특별 감가상각 초년도 40%)
- 관세 면제 (원부자재 수입관세 100% 면제, 생산기계 수입관세 100% 면제, 수출세 100% 면제)
- 투자보장 (과실송금, 해외차입 등의 외환거래 보장, 국유화 대상, 가격통제 대상에서 제외)

□ 투자 단점

ㅇ 국가위험(Country Risk)
- 2007년Moody's사의B2(높은위험도)로평가되었고, 2013년에도여전히B2 단계임.

 

ㅇ 경제적 측면
- 외채는 70억 달러인 반면 외환보유고는 54억 달러(2014. 10. 기준) 외채 규모가 GDP 대비 큰 상황이 유지되고 있음.
- 캄보디아는 국가 채무를 제대로 상환할 능력이 없음.

ㅇ 사회적 측면
- 갈수록 커지는 빈부격차
- 최근 봉제기업 임금인상과 더불어 일부 강성 노조들의 파업에 물리적 충돌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

ㅇ 미흡한 인프라
- 캄보디아 내부 기본 인프라가 미흡하여 도로망, 철도 운송 및 이동 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 39,618km의 도로 중 약 6%정도인 2,492km의 도로만이 포장된 도로이며 이러한 환경은 물류비 비용 증가에도 영향을 끼침.
- 전력 보급률이 매우 낮은 상태(31%)임. 이에 따라 공장 설립시 송배전망과 전기 승압에 추가 투자가 필요함.
- 관개시설, 창고 보관시설, 정보통신망, 병원 및 의료시설 등 기타 인프라 또한 매우 부족한 상황

ㅇ 열악한 행정
- 2008년도 국제 투명성 기구 평가에서 부패정도가 세계 2위를 차지함
- 공무원들의 뇌물문화는 조직 깊숙이 존재하고 있어, 행정절차의 투명성이 매우 부족하고, 불필요한 추가비용(급행료 등)이 발생

- 행정 전산화 정도가 매우 미흡하여 기본적인 자료 및 정보 축적이 되어있지 않고, 직원의 근무강도가 매우 낮음.

ㅇ 숙련공 확보의 어려움
- 업무 이직이 매우 잦아 오랫동안 근무를 한 전문적인 직원을 찾아보기 힘듦
- 직업 훈련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초보자를 채용하여 자체양성을 하거나, 인근 국가로부터 조달을 받아서 활용하고 있음.
* 최근 한국 등에서 직업학교 설립을 지원하고 있음

ㅇ 원부자재 확보의 어려움
- 캄보디아 내부의 열악한 도로 인프라 망으로 인한 운송의 어려움 발생, 대부분 원부자재 수입을 통하여 조달
- 제조시설의 미비로 인한 대부분의 공산품 및 화학제품 등은 인근 국가(태국이나 베트남)로부터 수입을 하고 있음

ㅇ 국적 취득 비교적 상이함
- 생산설비의 부품을 제조하는 시설 또한 없어, 부품 등은 전량 수입에 의존

 

ㅇ 해외 투자자들의 부동산 취득(토지소유 문제) 불가
- 캄보디아는 헌법 제44조(1993년 제정), 투자법 제16조(1994년 제정)에 토지 관련사항을 명기하고 있는데 외국인의 경우 원칙적으로 토지를 소유할 수
없도록 되어 있음. 단, 캄보디아 국민이 51%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합작투자 법인의 경우에는 토지 소유가 가능하며 캄보디아에 귀화하여 국적을 취
득한 경우에도 부동산 구입이 가능함
- 외국인은 장기 임차 및 토지 사용권 획득이 가능하며, 임차 기간은 최장 70년으로 연장 가능있는데 외국인의 경우 원칙적으로 토지를 소유할 수
없도록 되어 있음. 단, 캄보디아 국민이 51%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합작투자 법인의 경우에는 토지 소유가 가능하며 캄보디아에 귀화하여 국적을 취
득한 경우에도 부동산 구입이 가능함
- 외국인은 장기 임차 및 토지 사용권 획득이 가능하며, 임차 기간은 최장 70년으로 연장 가능

 

➁ 우리기업 투자 진출분야

□ 봉제업(의류 및 신발)

ㅇ 의류산업
- 1996년부터 미국 및 유럽연합국가들이 제공한 일반특혜관세제도(이하 “GSP”) 및 최혜국대우제도(이하 “MFN”)와 캄보디아 정부가 채택한 수출위주 전략 덕택에, 의류산업은 캄보디아 수출산업의 추진력 역할을 함.
- 의류산업이 전체 수출에서 계속해서 70%~80%를 차지하며, 캄보디아의 눈부신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
- 의류산업에 대한 투자는 2003~2007년 사이 급증했으며, 주요 투자국은 대만, 중국 그리고 홍콩이며, 프로젝트 당 평균 투자금액은 2005년과 비교할 때
2006년부터 2008년 사이 대폭 증가했음
- 캄보디아 의류산업의 성장은 국내투자자보다는 대만, 중국 및 홍콩과 같은 외국인직접투자에 의해 주도되어 왔음.

 2014. 9. 현재, 전체 648개사의 회원 중 캄보디아 소유주의 비율은 35개사로 겨우5% 정도에 불과함(한국투자비율: 77개사, 약11%)
- 2013년 캄보디아의 의류산업은 약 41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고, 주요 수출대상 국가는 미국과 EU임
- 2013년 대규모 사업장의 약 80%가 섬유산업, 의류 및 가죽 산업이며, 약 500,000명의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음(2014년 통계 연감)

ㅇ 신발산업
- 신발제조업은 생산규모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의류산업과 함께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산업임(2013년 수출비율 : 약 3억 달러, 약 3.8%)
- 신발제조업은 주로 외국인 투자가 거의 대부분이며, 이는 캄보디아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인센티브와 일본 및 EU 국가들이 제공하는 GSP/MFN 등
의 혜택을 얻기 위해서 임

 

- 캄보디아 상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1997년 이후 35개의 기업이 GSP에 등록했으며. 2014년 현재 54개의 기업이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만(약 31개의 기업)이 주 투자국가임(한국 투자 기업 : 3 개사)
- 신발제조업 부문은 32,000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으며, 섬유산업 전체 노동력의 약 8%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 농산업

ㅇ 현황
- 농림 수산업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3%이며 전체 노동 인구의 7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음
- 캄보디아는 비교적 넓은 국토와 적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농업 발전에 대단히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음
- 메콩강과 그 지류들, 톤레샵(Tonle Sap)호수의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강 주변의 퇴적 지대에 양호한 농지들이 분포해 있어 농업에 아주
유리한 지형을 가지고 있음
- 캄보디아에서는 주로 쌀을 재배하고 있으며, 전체 경작지의 90%을 사용하고 있음
- 쌀 이외의 작물로는 팜슈가, 캐슈넛, 등나무, 옥수수, 타피오카, 콩, 사탕수수, 고무, 후추등을 재배하고 있음

ㅇ 열악한 농업환경
- 토지소유권 분쟁, 관개시설 미비, 생산성 향상기술 미흡, 농자재 생산 및 수급 미흡, 유통구조 및 농업연구 R/D투자 미흡 등 농업에 대한 인프라 부
족으로 모든 작물의 생산성이 저조함

- 2011년 10년 만의 가장 큰 홍수의 영향으로 예상 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3.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쌀 생산량은 관개시설의 확충 및 비료 사용
확대 등 전반적인 농업 인프라의 발전으로 건기에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심각한 홍수 피해로 우기에는 감소함
- 기타 곡물 생산의 경우, 상당수 작물을 카사바로 전환하여 생산량이 급증했으나 공급 과잉으로 인하여 카사바의 시장 가격이 하락하였음

□ 건설업

ㅇ 급성장 하는 건설업
- 봉제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이 발달하면서 여성 노동력이 수도권으로 밀려들고 있으나 이를 수용할 주거시설이 부족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단순한
주거 시설이 대거 들어서고 있음
-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면서 상업용 건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소규모의 상업용 건물이 신축되고 있는 단계임
- 주의점: 토지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많은 기업이 구체적인 시장 조사나 개발 계획 없이 토지를 우선적으로 구매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으므로 좀더 철저한 사전 계획에 의한 참여가 필요함

 

캄보디아 주요 투자 인센티브 일람

 

□ 해외 투자자들에게 부여되는 우대제도

ㅇ 금융상의 특별 우대는 없으나, 세제 측면에서 집중 우대하고 있음
- 법인세 9% 부과
- 프로젝트 성격, 정부 우선 사업 분야 투자 시 최장 8년간 법인세 면제. 다음 용도에 쓰이는 건설 자재, 생산수단, 장비, 중간재, 새로운 원자재 및 부
품에 대하여 수입 관세 100% 면제
- 최소한 생산품의 80%를 수출하는 수출 산업, 경제특별지구(Special Economic Zone, SEZ)내의 공장 보유 기업, 관광 산업, 고용 창출 산업, 임·가공 산업, 농업, 기간산업, 에너지 산업
- 기업 이윤 재투자 시 재 투자분에 대한 법인세 면제
- 배당금, 이익금 국내외 지급 불문 비과세
- 완성품에 한해 수출 세 100% 면제
 

캄보디아 개발위원회(The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Cambodia)

 - 신규 투자 신청에 대한 one-Stop Service 차원에서 설치한 기관
- 국내외 투자가들에게 투자 관련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인센티브 승인 여부를 검토하고 있음. 즉, CDC는 주요 관세 및 세금 면제를 승인할 권한
을 가지고 있음
- 외국인에 대한 투자 제한은 없으나 다음 분야의 경우 법인세 인하, 수입관세 면제 등 투자 인센티브를 받을 수 없으므로 다소 제한적인 투자 분야로 간주
될 수도 있음

 

 ※ 무역업, 운송 서비스업, 면세점, 상점
※ 음식점, 가라오케, 바, 마사지 클럽 등 유흥업종
※ 라디오, TV, 신문 등 매스컴 관련 산업
※ 도·소매업, 기타 전문 서비스업

- CDC의 투자 승인은 제3자에게 양도하거나 빌려주는 것 금지
- 투자 기업이 기업 활동을 종료하거나 철수할 때는 투자개발위원회에 등기 우편을 보내거나 직접 내방을 하여 동 사실을 공지해야 함
- 법적 절차 없이 기업을 해산하려는 경우 모든 채권과 채무를 해결 하였다는 사실을 재정경제부에 증명하여야 함
- 투자자가 기업 해산의 승인을 받은 후에는 잔여 자산을 해외로 이전 하거나 캄보디아 기업에게 매각할 수 있음. 사용 연도가 5년 미만으로 면세로 수입된 기계, 기기는 해당  수입 관세를 납부한 후에 처분이 가능함.
 

□ 비교적 자유로운 외환거래
- 캄보디아 중앙은행이 제정하고 공포한 관련 법 및 규정에 따라 외국 투자자는 은행을 통하여 외환을 구입할 수 있음
- 투자와 관련된 제반 재무적인 의무 사항 완료 후 아래 건에 관해서는 아무런 제약 없이 외국으로 송금할 수 있음

 

 ※ 수입 대금 지급
※ 국제 차관에 대한 원리금 상환
※ 로열티 및 관리자 경비의 지급
※ 이익의 송금
※ 일정 조건에 부합한 투자 자본의 송금

 

□ 경제특별구역(Special Economic Zone, SEZ)
- 캄보디아 특별경제구역위원회(Cambodian Special Economic Zone Board)가 설립되어 운영 중

- 경제특별구역개발자의 경우 개정 투자법 제 14.1 조에 따라 최장 9년까지 소득세감면혜택을 받을 수 있음
- 구역 내 기반시설건설을 위해 수입되는 장비와 건설자재에 대해서는 통관은 물론 수입관세 및 다른 조세감면의 혜택이 주어짐
- 경제특별구역역내 개별사업자의 경우 개정 투자법 제 14.9 조와 다른 관련 규정에 정한대로 조세감면혜택을 받을 수 있음.
- 0%의 부가가치세율로 세금혜택을 받은 역내개별사업자는 물품이 수입될때마다 세금 감면액을 기록해 두어야 하며, 신고한 원부자재로 생산한 산
출품(Production Outputs)이 재수출되는 경우 상기한 부가가치세 세금감면은 계속 유효하지만, 산출품이 캄보디아 내에서 판매되는 경우 수출량만큼
감면 받은 부가가치세액을 납부하여야 함.
- 상기 혜택은 특별경제구역 내 입주여부와 관계없이 CDC 승인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이고, 또한 토지를 담보로 하는 파이낸싱에서는 불리한 점도 있
다는 점을 유의해야 함.

 

투자 진출 유망국 투자여건 비교

 

 기초통계자료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명목 1인당 GDP (USD)

640 

720 

835 

1,024 

 명목 1인당 GDP 상승률 (%)

 16.4

 11.1

13.7 

18.4 

 명목 물가상승률 (%)

 8.3

6.6 

12.6 

23.0 

 명목 임금상승률 (%)

 11.3

11.6 

12.6 

15.0 

 미화 대비 연평균 환율

4,100 

4,100 

4,100 

4,100 

 

1. 임금

 항 목

 가 격 (USD)

비 고 

1.1 사무직(일반, 대졸초임, 월급여) 

 180~200

 

1.2 사무직(비서, 초임, 월급여) 

150~180 

 

 1.3 사무직(중간관리자, 월급여)

250~ 

 

1.4 생산직(일반, 초임, 월급여) 

100 

 

 1.5 생산직(중견, 월급여)

150 

 

1.6 연간상여금(월기본급대비 %) 

 100%

 

1.7 추가근무수당(평일, 휴일, 공휴일별 %) 

 평일 150%

휴일 200%

공휴일 200%

 

 1.8 사회보장부담금(월급여대비 %)

회사 0.5%

개인 0.3% 

 

 1.9 법정최저임금(월)

72.6 

 

1.10 법정퇴직금 

 1년근무당

0.5개월치 급여

고용기간 6개월~1년 : 7일치임금
1년초과: 고용기간 매1년마다
15일치, 최장 6개월치 임금 지급 

 

 

 

 

2. 노무환경

 2.1 주당 법정근무시간

 48시간

 

2.2 출산휴가일수 

 90일

 

2.3 연간국경일수(평균) 

24일 

 

 2.4 토요휴무제(시행여부)

부분시행 

 

2.5 법적 노동조합 설립 필요성(필수, 권장, 필요없음 

 자유

 

2.6 노동쟁의 냉각기간일수 

19일 

 

2.7 도시인구(만명) 

180만명 

 

 

3. 공장설립환경 및 공공요금

 3.1 법정최저자본금

$5,000 

 

3.2 회사설립 변호사 비용 

협의 

 

3.3 공업단지매입가(㎡) 

$100~200 

 

 3.4 공업단지임차료(㎡,월)

$2.0~3.0 

 

3.5 사무실임차료(㎡,월) 

 $18~25

 

 

 3.6 산업용전기요금(월 기본요금, 1kWh당 추가요금)

0.2 

 

 3.7 산업용가스요금(월 기본요금, 1㎡당 추가요금)

0.3 

 

3.8 산업용난방요금(월 기본요금, 1㎡당 추가요금) 

존재하지 않음 

 

3.9 산업용수도요금(공업용수, 1㎡) 

0.3 

 

 3.10 하수처리비(1㎡)

10% 

 

 

4. 조세 및 금융환경

4.1 외국인 투자기업 조세휴일(년) 

 5년

투자청 사전 승인기업만 해당 

4.2 외투기업 법인세(유효세율) 

 기업 성격에 따라 20~30%

 

4.3 외국인 개인소득세(%) 

 기업 성격에 따라 20~30%

 

4.4 외투기업 세금감면 혜택 

소득세, 관세, 수출세 

투자청 사전 승인기업만 해당 

4.5 해외송금세(%) 

 0

 

4.6 부가가치세(%) 

 10

 

 4.7 법인 1년 은행대출금리(%)

8.5~9 

 

 

5. 통신환경 

5.1 전화개통비(1회선, 제반비용 일체(전화기 제외)) 

 시내에서 멀어질수록
개통비 증가

5.2 전화사용료(월 기본요금, 시내 3분 평상시간) 

기본요금 없음 

선불식 충전 

5.3 공중전화(시내 3분 평상시간) 

공중전화 없음 

 VAT 포함

5.4 국제전화(현지-서울, 3분 평상시간) 

 3

 

5.5 휴대전화개통비(제반비용 일체(휴대폰 제외)) 

sim card : $1 

 

 5.6 휴대전화사용료(월 기본요금, 1분 평상시간)

 4.5~35 cents

 

5.7 인터넷개통비(제반비용 일체) 

40~200 

 

5.8 인터넷사용료(월 기본요금, 표준속도) 

 25~200, 1mbps~5kbps

 

5.9 국내우편(일반편지, 1통(2~3페이지)) 

 0.2

 

5.10 국제우편(현지-서울, 일반편지, 1통(10g이하)) 

 20

 

5.11 특급우편(현지-서울, DHL, 1개(1kg이하)) 

1kg당 $20 

 

 

6. 물류비 

6.1 컨테이너 내륙운송비(FEU, 공단-인근항/인근공항) 

220

 30

프놈펜 - 시하눅 항

 프놈펜 - 프놈펜 공항

6.2 해상운송비(FEU, 인근항-부산항/상하이항/LA항) 

1,100

1,100

2,400

부산항

 상하이항

LA항

 6.3 항공운송비
(1톤, 인근공항-인천공항/상하이공항/LA공항)

1.8

1.8

4.5

 인천공항

상하이공항

LA공항

 

7. 자동차 및 교통환경 

7.1 자동차 구입가(2000cc 중형, A/T, 에어컨) 

13,000 

Lexus RX 300

7.2 일반휘발유(1L) 

 1.3

 

 7.3 경유(1L)

 1.28

 

 7.4 자동차등록비(2000cc 중형, 제반법정비용 일체)

 50

 

 7.5 자동차 보험료
(2000cc 신형차, 1년 신규가입계약, 종합보험)

차량가 5% 미만 

 

 7.6 지하철(기본요금)

 없음

 

 7.7 시내버스(기본요금)

0.375 

 

7.8 택시(기본요금) 

 

7.9 택시(1Km당 추가요금) 

 0.1

 

 

8. 주택환경 및 공공요금 

8.1 중급아파트임차(150㎡/월) 

 1,100

Service Apartment 

8.2 중급단독주택임차(150㎡/월) 

 2,500

Full Sunished 

 8.3 중개수수료(월 임차료의 %)

 없음

임대인이 지급 

 8.4 임차보증금(월 임차료의 %)

 100~300%

 

 

9. 의료·보험 

 9.1 의료보험료(1년, 4인가족, Full Cover, 치과제외)

 800~1,000

 

9.2 병원진료비(의료보험X, 몸살감기, 내과초진) 

 5~10

 

9.3 병원진료비(의료보험O, 몸살감기, 내과초진) 

 3~7

 

 

10. 교육환경 

 10.1 해당 도시내 외국인 학교수

대형 2, 중간 1, 소형 다수 

 

 10.2 영미계 국제학교 수업료(초등 1년간)

 11,090

 

 10.3 영미계 국제학교 수업료(중등 1년간)

 13,380

 

10.4 영미계 국제학교 수업료(고등 1년간) 

 14,550

 

 10.5 한국계 학교 수업료(초등 1년간)

 -

 

10.6 한국계 학교 수업료(중등 1년간) 

 -

 

10.7 한국계 학교 수업료(고등 1년간) 

 -

 

10.8 현지인 학교 수업료(초등 1년간) 

 0

 공립

 10.9 현지인 학교 수업료(중등 1년간)

 0

 공립

10.10 현지인 학교 수업료(고등 1년간) 

 0

 공립 

 

11. 레저·오락 

11.1 골프장그린피(비회원, 18홀1라운드, 중상급수준) 

120~180 

 

 11.2 골프장회원권(매매가능 18홀, 중상급수준)

 28,000~35,000

 

 

12. 호텔 

12.1 특급호텔(5성급, 싱글 1박) 

 208.85

세금, 조식 포함 

12.2 특급호텔(5성급, 트윈 1박) 

 233.48

 

12.3 중급호텔(3성급, 싱글 1박)

 50-65

 

12.4 중급호텔(3성급, 트윈 1박) 

 6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