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昌慶宮)의 역사적 배경] 이 궁은 옛날 고려 때 수강궁(壽康宮) 터로서 세종 원년에 잠시 상왕 태종이 거처한 일이 있기는 하였으나 여기에 본격적인 궁궐이 시설된 것은 성종 14년(1483)의 일이다. 성종은 당시 생존해 있던 조모 정희왕대비(貞熹王大妃, 세조비) · 모후인 소혜왕후(昭惠王后, 덕종비) · 양모(養母)인 안순왕후(安順王后, 예종 계비)를 위해 왕의 정궁인 창덕궁과 가까운 수강궁 터에 새 궁궐을 건조하였다. 그러나 창경궁도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어 광해군 즉위초부터 중수가 진행되어 왔는데, 대간(臺諫)들의 공사 중지 요청이 있었고 또 반역음모설로 인한 옥사가 자주 일어나 일시 공사가 정지되었다. 그러다가 광해군 7년 4월에 왕이 정릉동 행궁(行宮)에서 창덕궁으로 다시 이어(移御)하면서부터 창덕궁 영건의 공사에 다시 착수하였다. 그러자 정원(政院)과 대간에서 재차 백성들이 굶주리고 있는 이 시기에 궁궐을 영선(營繕)한다는 것은 불가하다는 주장이 비등하였는데, 왕은 이를 무시하고 역사를 강행하여 왕 8년(1616) 11월에 이르러 드디어 중수(重修)가 완결되었다. 그 후 인조반정이 있은 다음 반정공신의 1인인 평안병사 이괄이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서울이 반군에 함락되자 왕실과 조정은 창황히 서울을 떠나 남쪽으로 피난길에 올랐다. 이 때 무뢰악소배(無賴惡小輩)들이 왕궁으로 난입하여 물건을 도둑질하고 불을 질러 통명전(通明殿) · 환경전(歡慶殿) · 양화당(養和堂) 등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었는데, 난이 진정된 이후 다시 중수되었다.(1619) 그 뒤 순종 융희 원년(1907) 11월에 왕실의 오락장 · 동물원 · 식물원 등이 궁내에 병설되어 창경궁은 창경원(昌慶苑)으로 개칭되었다. 동년에 원내(苑內)의 권농장(勸農場) 터에 못을 파고 춘당지(春塘池)라 하였으며, 1911년에는 못의 북쪽에 일본식 건물인 수정 (水亭)을 세우고, 이보다 2년 앞에는 그 뒤쪽에 식물원을 설치하여 주로 열대식물을 심었다. 그리고 옛 보루각지(報漏閣址)의 부근에는 동물원을 꾸며서 서울의 명소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현재 동물원과 식물원의 시설은 경기도 과천에 서울대공원이 설치되면서 그곳으로 이전하였으며, 창경궁은 복원공사가 완성되어 다시 옛 모습을 되찾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