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1. 3. 12:10ㆍ캄보디아 개요
캄보디아 의료시장의 가능성과 한계점
- 질병관리에 대한 정부의 인식 점차 확대 -
- 전력공급 불안정으로 의료시설 운영 어려워 -
□ 캄보디아의 보건현황
○ 감소하는 영아 사망률
- 최근 캄보디아 인구·건강 조사 2010(CDHS)에 따르면 출산 중 영아 사망률이 2005년 1000명 중 66명에서 2010년 1000명 중 45명 사망으로 크게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5세 미만 영아 사망률이 83명에서 54명(1000명당)으로 감소(OECD 국가 평균과 비교할 때 캄보디아 영아 사망률은 약 13배 높은 수준)
자료원: 통계청
○ 주요 질병 현황
- 주요 질병 중 하나였던 HIV/AIDS 양성 반응률은 1998년 3%로 정점을 찍었으나, 2003년 1.9%로 감소했으며(HIV 감시 2003-보건부/NCHADS) 2005년 보건·인구 조사에는 15~49세 성인 중 양성 비율이 남녀 모두 0.6%로 줄어드는 추세
- 캄보디아에서는 결핵이 창궐하고 2010년의 경우 모든 형태의 결핵 발병인원은 3만9202명, 사망자는 1000명 중 67명
□ 캄보디아 의료시장의 잠재성장 요인
○ 질병관리에 대한 캄보디아 정부의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캄보디아의 의료 관련 지출액
(단위: 백만 달러)
연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지출액 |
564 |
651 |
678 |
712 |
자료원: 캄보디아 보건부
○ 캄보디아의 낮은 물가수준은 해외 은퇴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
- 많은 해외 및 국내 고령 은퇴자들이 태국과 베트남에 정착하는 것처럼 캄보디아 역시 낮은 물가 수준으로 많은 고령 은퇴자들이 찾는 상황이고 향후 캄보디아 문화 및 기반시설의 성장과 맞물려 캄보디아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숫자가 더욱 많아질 것으로 기대됨. 이는 의료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 캄보디아 입국 및 체류기간 중 생기는 비자 관련 절차가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장기 체류에 용이(6개월 복수 비자: 150달러, 1년 복수비자: 280달러)
- 캄보디아 상류층 및 학사 과정을 이수할 정도의 젊은 세대는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원활
○ 캄보디아 정부의 투자육성정책으로 토지 임대 용이
- 외국인에 의한 토지매매가 불가능하나 장기 임대 절차가 간소하고 임대료도 낮음.
□ 진출 용이한 의료 분야
○ 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용이 쉬운 약국은 캄보디아 의료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 약사들이 의사의 처방전 없이도 환자에게 약을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
- 캄보디아 현지 약국 및 약사와 연계해 현지인용 의료키트를 제작∙보급
자료원: ki-media.blogspot.com
○ 캄보디아에 은퇴 후 정착한 고령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단지 구성
□ 캄보디아 의료시장 성장 저해요인
○ 캄보디아의 낮은 임금 수준으로 의료혜택을 받는데 있어서 어려움 존재
- 캄보디아 정부가 매년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정된 수준의 지원만이 가능한 상태
○ 전력공급 불안정으로 인한 의료시설 운영의 어려움
- 캄보디아는 전력 공급의 상당 부분을 베트남 및 라오스에 의존하는 실정이며, 도시 단위 대규모 정전이 한 해에 한번에서 두번 정도 발생
○ 열악한 현지 교통 사정은 병원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 요소
○ 숙련된 의료업 종사자 숫자가 적음.
□ 한국 기업 진출 시 유의사항
○ 캄보디아 현지 의료시장 진출 시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
- 현지인들의 낮은 생활 수준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은 큰 위험성을 수반
○ 현지 병원 및 의사 중 상당수가 무면허∙무인가 상태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현지인들을 채용할 때 각별한 주의 요망
- 현지 사정에 익숙한 개인 및 기관과 협력을 장려함.
'캄보디아 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 영토분쟁관련 ICJ 재판서 태국에 승리 (0) | 2013.11.12 |
---|---|
캄보디아의 성장과 함께 늘어나는 해외은행 자금 (0) | 2013.11.03 |
캄보디아의 원유시추 상황 조망 (0) | 2013.11.03 |
늘어나는 캄보디아 전력공급사업, 한국 기업엔 독이 든 성배 (0) | 2013.10.09 |
기후변화의 명암, 캄보디아엔 기회 (0) | 201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