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7. 12. 21:14ㆍ캄보디아에서 들려오는 소식
캄보디아, 카사바 식용부터 바이오연료까지 다재다능
- 지난 10년간 생산량 약 30배 증가, 경작 면적 약 14.5배 증가 -
- 에탄올 등의 바이오 연료 개발 연구에 박차 -
□ 카사바 일반 현황
○ 카사바는 브라질 원산의 높이 1 ~ 3m의 등대풀의 다년생 초본으로, 지름 4 ~ 10㎝, 길이 20 ~ 40㎝의 5~10개의 뿌리를 지하에 가지고 있음. 삽목으로 번식하고 성장이 빠르므로 열대지방에서는 예부터 중요한 전분작물. 근경의 전분은 tapioca 전분이라고 불림.
○ 근경의 즙액 카사리푸(cassareep)는 졸여서 소스재료로 쓰임. 쓴맛이 강한 고미 카사바(Manihot esculenta Crantz)와, 쓴맛이 약한 감미 카사바(Manihot dulcis Bail) 2종이 재배. 캄보디아에도 현재 2가지 맛이 모두 재배됨. 베트남 국경 지역인 캄퐁참 주 인근에서는 쓴맛이 강한 카사바를, 태국 국경지역인 바탐방 주 인근에서는 쓴맛이 약한 카사바를 재배함.
○ 예전에는 동물 사료와 산업용으로 쓰이는 쓴맛이 강한 카사바의 수요가 적어 식용의 쓴맛이 약한 카사바의 수요가 집중됐음. 하지만 최근 동향이 바뀌어 카사바는 식용뿐만이 아니라 날 것의 수출 및 국내 수요가 가능한 작물이 돼 맛의 구분 없이 생산량 및 수요가 증가함.
○ 최근 카사바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한국 기업인 MH Bio-Energy는 캄퐁스프 지역에 8000헥타르에 달하는 카사바 생산지를 확보하고 칸달 주에 2008년 에탄올 공장을 설립함.
연간 카사바 경작 면적 및 생산량 현황
연도 |
경작지(ha) |
생산량(ton) |
2001 |
14,239 |
142,262 |
2002 |
19,563 |
122,014 |
2003 |
25,740 |
330,649 |
2004 |
22,749 |
362,050 |
2005 |
30,032 |
535,623 |
2006 |
97,918 |
2,200,280 |
2007 |
108,122 |
2,215,427 |
2008 |
179,945 |
3,676,232 |
2009 |
160,326 |
3,497,306 |
2010 |
206,226 |
4,248,942 |
자료 : Annual Report 2011(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카사바의 생산량은 2001년 이후 매년 증가함. 경작지는 2001년 1만4239헥타르에서 2010년 약 14.5배 증가한 20만6226헥타르에서 카사바가 생산됨. 생산량 또한 2001년 14만2262t에서 2010년 약 30배 증가한 424만8942t이 생산됨. 2008년 MH Bio-Energy의 바이오 연료 공장 설립으로 인해 생산량과 경지면적이 폭발적으로 늘어남. 증가한 생산량으로 인한 카사바 가격 인하로 농부들의 생산욕구가 떨어져 2009년 경작지가 소폭 감소했지만 2010년 다시 예년 대비 29.6% 증가됨.
○ 2001년 약 10t에 불과했던 1ha당 생산량은 2010년 20.6t으로 2배 이상 증가. 이는 캄보디아의 카사바 생산기술 및 기반시설이 10년간 큰 발전을 이뤘음을 보여줌.
□ 전망 및 시사점
○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분야 투자에 많은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외국인 투자 유치에 힘씀. 경제적 토지 양여 정책은 외국인 투자자가 캄보디아의 대규모 플랜테이션(고무, 카사바 등)을 운영할 수 있게 도와줌. 또한 캄보디아 투자청 등록 시 주어지는 여러 가지 세제 혜택도 캄보디아의 농업부문 투자 증대에 기여함.
○ 캄보디아 상무부의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2011년 5월까지 카사바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21만2000t을 기록함. 또한 베트남, 태국 등의 국제적 카사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로 인한 수익도 예년 동기 대비 2.3배 증가한 1030만 달러를 기록함.
○ 농산물 수송 전문 회사인 ACOBIS의 대표 Ruos Manmuy에 의하면 2011년 5월까지 태국으로 수출된 농산물은 2만7000t으로 작년 동기의 7000t보다 3배 이상 증가. 또한 마른 카사바의 가격 구조가 185~236달러 사이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0년 118~143달러에 비해 65% 이상 증가함.
○ Ministry of Agriculture의 Agro-Industry 부서장인 Khan Samban에 의하면 다른 작물에 비해 생산이 비교적 쉽고, 높은 가격대와 높은 수요의 시장을 가진 카사바는 지속적으로 투자가 증가해 매년 생산량 및 경작지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
'캄보디아에서 들려오는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 옷에서 향기나기 시작 (0) | 2011.07.12 |
---|---|
캄보디아, 벽돌가격 상승으로 본 건설업 전망 (0) | 2011.07.12 |
캄보디아, 자동차시장 작지만 매력적 (0) | 2011.07.12 |
30만개의 `돌덩이 퍼즐’ 50년만에 다 맞췄다 (0) | 2011.07.06 |
세계최대의 퍼즐 맞추기 완료- 바푸욘 사원 공개 (0) | 201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