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7. 14. 09:42ㆍ캄보디아에서 들려오는 소식
캄보디아, 산유국 진입 가능 한가?
- 캄보디아 정부 2012년에는 석유 생산 할 것 -
- CPHL, 해상 광구 D구역에서 석유 시추 가능성 기대 -
ㅁ 캄보디아 석유분야 현황
ㅇ 아직까지 캄보디아에 석유는 발굴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기대되고 많은 기업들이 유심히 지켜보고 있는 상황. 따라서 캄보디아 정부는 천연 자원 관련 법 개정, 투자 촉진 등을 통해 국내나 외국 기업들의 투자가 캄보디아 중요 자원들을 발굴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있는 상황
ㅇ 이러한 맥락의 일환으로 캄보디아 정부는 석유 탐사작업을 돕기 위해 Cambodian National Petroleum Authority (CNPA)를 설립하였고, CNPA는 캄보디아 석유 분야에 관련된 모든 규정 및 항목들을 관리
< 해상광구 탐사지역 분류 >
ㅇ 해상광구 중 구역 A 는 석유 탐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곳. Chevron 이 55%, Mitsui Oil Exploration 30%, GS Caltex Corp. 15%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음. Chevron사가 A구역에서 4~5 억만 배럴정도의 석유가 묻혀 있을 것 이라고 추정하였지만 한 장소가 아니라 여러 곳에 소량씩 묻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어 경제성 문제 때문에 아직 생산에 들어간 업체는 없음. 생산은 2013년에서 2015년 사이에 이루어 질 것이라고 예상
ㅇ 육지에서 또한 다양한 회사들이 개발권을 확보하기 위해 준비, 진행 중. 기본 탐사 기간은 4년이며 2년씩 2번까지 연장할 수 있음. 현재 다수의 라이센스가 발급되었으나, 현황에 대해서는 비공개되어 정확한 내용을 입수 난해. 입찰 관련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아 기업들과 정부기관과의 로비가 많은 편
석유분야 외국 투자기업 목록
회사명 |
광구 위치 |
오너쉽 |
상태 | |
Chevron |
해안광구 A |
미국 |
‘02년 탐사허가
|
|
GS Caltex |
한국 | |||
Mitsui Oil Exploraiton |
일본 | |||
French (TOT) |
육상광구 3블럭 |
프랑스 |
‘06년 탐사허가 | |
China Petrotech Holding Limited (Cambodia). |
해안광구 D |
싱가폴 |
‘06년 탐사허가 | |
Singapore Petroleum Company |
해안광구 B |
싱가폴 |
‘06년 탐사허가 |
|
Resourceful Petroleum Limited |
말레이시아 | |||
PTTEP International |
태국 | |||
Cooper Energy |
호주 | |||
Lundin Petroleum |
해안광구 E |
스웨덴 |
‘06년 탐사허가 |
|
Medco Energy International Tbk (Medco) |
인도네시아
| |||
Kuwait Energy |
쿠웨이트 | |||
JHL Petroleum |
바하마 | |||
Polytech Petroleum |
해안광구 C |
중국 |
‘06년 탐사허가 | |
China Offshore Oil Corporation International Limited (CNOOC) |
해안광구 F |
중국 |
‘07년 탐사허가 |
ㅁ D블록에서 석유 생산 가능성 기대
ㅇ China Petrotech Holding Limited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스와 석유 시추작업을 진행 중이며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회사로 2006년 캄보디아 정부로부터 탐사허가 라이센스를 획득한 뒤 블록D에서의 석유 탐사를 진행 중에 있음. 총7년의 탐사기간과 30년의 생산허가를 받은 상태
ㅇ CPHL 기업이 시하눅빌에서 250km정도 떨어진 해안, 즉 D구역에서 해양석유 및 가스를 시추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보도. 전체 226.88 백만 배럴 정도의 석유가 매장 되어있을 것이라고 전망
ㅇ CPHL은 신속하고 정확한 진행을 위해 Offshore Hydrocarbon Mapping Gruop과 합작하여 탐사를 진행할 것이고 프로젝트에 드는 비용은 정확히 밝히진 않았지만 거액의 자금을 투자한 것으로 보임
ㅇ 캄보디아 당국은 20112년이 캄보디아의 석유 생산의 핵심 시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 속안 부총리는 2012년 12월 12일 12시에 캄보디아에 첫 석유생산이 시작되길 희망한다고 발언. 훈센 총리는 Chevron에게 2012년 까지 A블록에서 석유를 생산할 수 있게 해달라고 이야기한 상태이며 그렇지 못할시 사업권을 회수 할 것이라고 통보한 만큼 캄보디아 정부에서는 2012년 전까지 석유 생산국이 되기 위해 만전을 기할 것으로 보임
ㅁ 시사점
ㅇ 캄보디아정부는 계약기간 내에 기업들에게 석유 발굴 및 생산으로 붙어 얻은 이익의 30%를 캄보디아 정부에 납부하는 조건으로 라이센스를 발급한 바 석유생산으로 이어질 경우 캄보이아의 경제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
자료원 : 캄보디아 재정경제부, Phnom penh Post, 프놈펜 KBC 자체조사 등
'캄보디아에서 들려오는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 10년 만에 홍수로 최악의 사망자 발생 (0) | 2011.10.02 |
---|---|
泰·캄보디아, 홍수 피해 심각…각각 158명·61명 사망 (0) | 2011.09.26 |
캄보디아, 천연자원의 보고 (0) | 2011.07.14 |
캄보디아, 옷에서 향기나기 시작 (0) | 2011.07.12 |
캄보디아, 벽돌가격 상승으로 본 건설업 전망 (0) | 201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