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상반기 한국-캄보디아 무역 동향

2012. 9. 5. 13:31캄보디아에서 들려오는 소식

 

2012년 상반기 한국-캄보디아 무역 동향

 

- 상반기 대캄보디아 수출 37.8%, 수입 79.3% 증가 -

- 국민소득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수출증가 지속 전망 -

 

 

 

□ 대캄보디아 무역 동향

 

 O 2012년 상반기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은 전년 대비 37.8% 증가한 2억869만 달러, 수입은 전년 대비 79.3% 증가한 6185만 달러를 기록해 2억2513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함.

 

 O 대캄보디아 수출은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2년 연속 성장세를 보였으며 올 상반기 유럽 경제 불안 여파에도 높은 증가율을 보임. 수입 역시 수출에 비해 총 금액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2011년 증가율이 100%에 달할 정도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고 2012년에도 이와 같은 흐름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 무역수지는 세계경제 위기인 2009년을 제외하고 지속 상승하며 3년 연속 최고액을 갱신할 것임.

 

대캄보디아 수출입 실적

                                                                     (단위: 천 달러, 전년동기대비 %)

 

 

 

 

무역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2006

205,093

42.2

 5,461

-8.4

199,632

2007

281,426

37.2

 8,873

62.5

272,553

2008

294,383

4.6

14,378

 62.1

280,005

2009

273,323

-7.1

18,202

26.6

255,121

2010

332,998

21.8

43,445

138.7

289,553

2011

450,729

35.4

87,275

100.9

363,454

2012(상)

286,990

37.8

61,859

79.3

225,131

 

출처: 한국무역협회(KITA)

 

□ 對캄보디아 수출

 

 O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은 지난 2001년 최초로 1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2009년을 제외하고 매년 평균 20% 정도의 증가세를 보임. 최근 우리나라의 대캄보디아 수출 주종상품은 직물류, 중고자동차, 중고의류, 오토바이, 자동차 부품, 농산품, 플라스틱 제품임.

 

 O 2012년 직물업 수출의 성장둔화에도 건설업, 농업, 관광업 등 내수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으로 인한 원자재, 산업기계, 차량, 생활소비재 등의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대캄보디아 수출은 37.8% 증가함.

    

대캄보디아 수출량 추이

                                                        (단위: 천 달러, %)

 

대캄보디아 수출현황(품목분류: MTI 2단위)

                                                                                                               (단위: 천 달러, %)

 

순 위

  

2011

2012(상반기)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직물

174,954

23.7

91,224

2.6

2

수송기계

86,927

105.1

60,458

65.2

3

섬유제품

71,805

24.6

41,391

36.1

4

농산물

27,200

111.3

27,363

211.7

5

비철금속제품

11,399

58.4

19,949

298.9

6

산업기계

12,891

58.8

8,029

48.0

7

정밀화학제품

13,177

40.6

6,984

11.2

8

고무제품

4,689

76.3

3,272

46.3

9

철강제품

2,964

-39.1

2,924

277.2

10

석유화학제품

5,238

10.0

2,792

10.6

11

기초산업기계

3,638

-37.0

2,437

11.6

12

산업용 전자제품

6,835

110.4

2,286

-50.1

13

전자부품

4,090

22.6

2,209

7.4

14

플라스틱제품

3,620

40.1

2,040

24.0

15

신변잡화

1,723

31.5

1,979

207.0

16

섬유사

2,741

-42.0

1,377

-28.5

17

제지원료 및 종이제품

1,847

13.4

1,196

20.9

18

광물성 원료

1,129

19.4

1,172

75.8

19

중전기기

1,090

-11.1

1,152

69.5

 

총 계

450,729

35.4

286,990

37.8

 

출처 : 한국무역협회(KITA)

 

  - 2011년 총 수출량의 약 40%에 이르렀던 직물류는 캄보디아 봉제업의 유럽 경제위기 여파로 수출 둔화 현상을 보임. 또한 봉제업의 발전을 막는 노사 분쟁과 이로 인한 투자자들의 투자 의욕 감소는 대캄보디아 직물 수출에 걸림돌이 됨.

  - 전통적인 대캄보디아 수출 품목인 중고 자동차(MTI 2단위: 수송기계)의 증가율(65.2%)이 꾸준한 가운데 비철금속제품(298.9%), 철강제품(277.2%), 금속제품(298%) 등이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임.

  - 2736만 달러를 기록한 농산물수출(211.7%)은 상반기에만 2011년 전체 수출량을 갱신했음. 하지만 담배수출(1만5000달러)이 농산물 수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

 

□ 對캄보디아 수입

 

 O 한국의 대 캄보디아 수입은 절대규모는 작으나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함. 수입 주종 품목은 봉제업을 기반으로 하는 섬유제품과 신변잡화 외에 천연고무, 수산물 등임. 캄보디아 정부의 적극적인 1차 산업 투자유치와 수출장려정책으로 전년 대비 79.3% 크게 증가

 

대캄보디아 수입량 추이

                                                                                         (단위: 천 달러, %)

 

대캄보디아 수입현황(품목분류: MTI 2단위)

                                                                                                   (단위: 천 달러, %)

 

순 위

  

2011

2012(상반기)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섬유제품

38,877

104.1

33,198

115.2

2

농산물

77

-95.3

7,232

15,223.5

3

임산물

27,231

144.7

4,592

-64.3

4

비철금속제품

4,216

-17.0

4,179

90.6

5

수산물

9,887

2,765.6

4,064

378.1

6

신변잡화

3,485

147.4

3,262

112.5

7

수송기계

429

-77.6

2,813

-

8

의료위생용품

1,465

100.2

945

33.8

9

전선

248

-

639

211.3

10

제지원료 및 종이제품

561

26.4

336

39.0

11

플라스틱제품

236

179.5

215

8.2

12

운동 및 취미오락기구

263

3,936.6

121

6,426.7

13

직물

43

-23.7

96

243.0

14

가정용 전자제품

15

-89.8

42

17,955.2

15

산업기계

29

-97.6

35

233.2

16

정밀화학제품

5

-79.3

26

7,766.2

17

중전(heavy electric) 기기

4

10,400.0

20

3,033.8

18

기타 기계류

0

-

18

-

19

인쇄물

15

-52.1

7

-43.6

 

총 계

87,343

101.0

61,859

79.3

 

출처 : 한국무역협회 (KITA)

 

  - 우리나라의 대캄보디아 수출 효자품목인 직물업의 수출둔화에도 섬유제품의 수입액은 상반기에만 3319만 달러를 기록하며 2011년 수입총액을 크게 넘어설 것으로 전망

  - 작년 수입품 2위를 차지했던 임산물은 올 상반기 수입액이 -64.3% 감소함. 임산물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무의 가격변동에 의한 결과임. 2012년 상반기 고무가격은 작년에 비해 30%가량 절감돼 전체 수입총액에 영향을 주었음.

  - 2011년 2000% 증가했던 수산물은 올 상반기에도 꾸준한 수입 증가세를 보임. 주된 상품은 95% 이상이 게이고 소량의 냉동 새우, 낙지 등이 있음. 작년부터 이어진 국제 수산물 가격의 상승이 수산물 수입총액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됨.

  - 농산물 수입은 올 상반기 크게 증가했는데 절대규모는 적으나 주류(공업용 에탄올) 중심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 이 밖에 작년 주춤했던 비철금속제품(4,179,000)과 수송기계(2,813,000)의 수입액 증가가 두드러짐.

 

□ 우리나라의 대캄보디아 수출 전망

 

 O 중국과 베트남 등지의 인건비 상승과 규제 강화를 피해 출구전략으로 공장이전과 투자가 계속돼 직물을 비롯해 봉제기계·설비, 발전기 등 부대설비 수입 증가가 예상됨. 한국에서 수입되는 직물은 캄보디아 봉제공장에서 가공돼 대부분 미국, 유럽 등으로 재수출되므로 향후 미국과 유럽의 경제 상황이 우리나라의 대캄보디아 직물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임.

 

 O 2008, 2009년의 글로벌 경제 위기 때 주춤하던 건설경기가 살아나면서 건설 중장비와 건축 자재의 수출이 지속 증가할 것임. 2012년 상반기에도 건설 중장비와 건축 자재는 대폭 증가했으며, 이 추세는 지속될 전망. 한국산 자재 수입은 한국기업의 건설 프로젝트에 주로 한정됐는데, 일부 가격 경쟁력이나 품질 경쟁력이 있는 건설 관련 수출품 경우 현지 기업에도 매력적일 것임.

 

 O 봉제업, 관광업, 농업, 건설업 등 전반적인 산업의 성장을 통한 국민소득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승용차, 의약품, 기호품 등의 수출 증가가 예상됨. 아울러 올해 캄보디아 실질소득의 증가로 생활소비재의 수출증가도 이어질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