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 11. 15:50ㆍ캄보디아 개요
캄보디아, 2015년 지속적인 경제 성장 전망
- ADB는 2015 캄보디아 경제성장률을 7.3%로 전망 -
- 캄보디아 경제의 주요 발전 과제는 경제 성장의 원천 다양화 -
□ ADB(Asian Development Bank) 연간 아시아 개발 전망
○ 2015년 3월 ADB(Asian Development Bank)는 연간 아시아 개발 전망을 통해 2014년 캄보디아 경제는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캄보디아는 현재 봉제공장의 시위, 파업 등의 노동문제 및 부동산 부문 신용대출의 증가로 향후 지속적인 성장에 위협을 받고 있음.
- 그러나 꾸준한 수출량 증가와 관광업 성장 등에 기인해 2015년과 2016년에도 7%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함.
○ ADB ‘연간 아시아 개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캄보디아 GDP 성장률은 7%로 지난 3년간 평균 7.2%였던 것에 비해 감소함.
- 캄보디아의 지난 연간 GDP 성장률은 2010년 6.0%, 2011년 7.1%, 2012년 7.3%, 2013년 7.4%, 2014년 7.0%를 기록했으며, ADB는 향후 2015년에는 7.3%, 2016년에는 7.5%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함.
- ADB 소속 경제학자 얀 한센은 캄보디아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은 좋은 편이며, 경제성장은 경공업 성장 분야가 얼마나 다양화되는지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캄보디아 연간 경제성장 및 기여도 |
|
주: FISIM=Financial Intermediation Services Indirectily Measured 자료원: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ADB estimates |
□ 캄보디아 산업 부문
○ 점차 발전하는 캄보디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발전은 농업의 성장 정체를 야기함.
- 2014년 캄보디아 농업은 홍수와 가뭄과 같은 천재지변의 영향과 제조업, 서비스업 발전으로 인해 연간 성장률 1.8%에 그침.
- 2014년 캄보디아 쌀 생산은 전년대비 2% 감소한 약 920만 톤을 기록했으며, 옥수수와 콩(대두)의 생산 또한 감소함.
- 대부분 농산품 생산 감소 속에서 2014년 카사바 생산은 전년대비 41%로 증가했으며, 카사바의 수요원천은 대부분 중국임.
- 세계은행 선임 담당경제전문가 엔리크 알다즈 카를은 캄보디아 농업 분야의 성장속도가 줄어드는 것은 낮은 생산성과 낮은 쌀 가격이 원인이라고 주장함.
○ 2013년에서 2014년으로 접어들면서 캄보디아 내 정치적 긴장과 의류, 봉제산업 노동자들의 분쟁은 확대됨. 이는 일시적으로 투자를 둔화시키고, 제조업 및 관광업에 피해를 주었으나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점차 완화됨.
- 캄보디아 세관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의류 및 신발류의 수출은 2013년 대비 10.7% 상승해 약 60억 달러에 도달했으나, 연간 성장률은 2013년과 비교해 감소함.
○ 2014년 캄보디아의 상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약 13.4% 증가한 약 74억 달러로 평가되며, 상품 수입은 전년대비 약 10.1% 증가한 약 107억 달러로 평가됨.
- 2014년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 품목은 의류, 목재, 고무, 농수산물, 담배, 신발류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봉제 원자재, 원유, 건축자재, 자동차, 의약품 등임.
- EU국가로의 수출은 전년대비 22% 상승한 약 24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미국으로의 수출은 전년대비 5.4% 감소한 약 20억 달러를 기록함.
○ 캄보디아의 건설업은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유입 증가와 은행 신용 상승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2014년 캄보디아 건설업은 전년대비 약 9.8% 성장한 것으로 평가됨.
○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관광업, 부동산업의 발전으로 약 7.9% 성장률을 기록함.
- 2014년 캄보디아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전년대비 약 7.9% 증가한 약 450만 명을 기록했으나 2013년과 비교해 더딘 성장을 보임.
- 캄보디아 관광업의 감소한 성장률은 캄보디아 내 정치적 긴장과 태국과 같은 인접국가로의 관광객 집중이 주원인으로 판단됨.
□ 캄보디아 재정부문
○ 캄보디아의 경제성장과 함께 2014년 캄보디아의 1인당 총 국민소득은 약 1045달러까지 근접해 중·저소득국(lower-middle income) 기준점에 접근함.
- 세계은행은 캄보디아의 빈부격차 해소와 안정적 경제성장을 위한 노력으로 빈부 간 불균형이 감소하고 2015년에는 1인당 GDP 1096달러를 기록해 중·저소국으로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함.
* 중·저소 국가는 1인당 GDP가 1045달러 이상 4125달러 이하인 나라를 말함.
○ 캄보디아 내 정치적 긴장과 노동문제로 인해 2014년 캄보디아의 순 외국인직접투자(FDI)유입은 전년대비 9.9% 감소한 약 16억 달러를 기록함.
캄보디아 연간 물가상승률 동향 및 전망 |
캄보디아 경상수지 동향 및 전망 |
자료원 : Asian Development Outlook database |
○ 2014년 캄보디아 물가상승률은 시장가격 상승으로 상반기 급증했으나 하반기로 들어서면서 점차 완화됨.
- 2014년 캄보디아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3.9%를 기록했으며, 12월 물가상승률의 경우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1%까지 하락함.
○ 2014년 캄보디아 연간 재정적자의 소폭 감소로 재정평가 결과는 전년대비 개선됨.
- 2014년 캄보디아의 국가 수익은 국내수요 증가와 정부 세수 증가로 전년대비 GDP의 약 15.7% 증가한 것으로 평가됨.
- 캄보디아 세금국의 2014년도 세수입은 약 10억 달러이며, 이는 전년대비 17.7% 증가한 수치임. 또한 관세국에 따르면 2014년도 수출입관세를 통한 세수입은 약 13억 달러로 전년대비 약 3억 달러 증가한 수치를 기록함.
- 반면 정부지출은 소폭 감소해 전년대비 GDP의 약 19..8%로 평가됨.
- 공적자금 이전을 제외한 경상수지 적자는 2013년 대비 감소한 GDP의 12.5%로 평가됨.
- 2014년 캄보디아의 총 국제준비금은 약 44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는 약 4.2개월의 상품 및 서비스 수입을 충당할 수 있는 금액임.
- 2014년 IMF의 부채 지속가능성 분석연구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부채위기 정도는 낮은 수준이지만 국가성장, 수출, 예산에 대한 충격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드러남.
○ 캄보디아의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 수준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 캄보디아 내 달러사용은 유동성의 80% 이상으로 집계되며, 이와 함께 외국통화 예금 또한 높은 수준을 유지함.
- 2014년 캄보디아 자국통화(Riel)는 미국 달러에 대해 0.3% 평가절하됨.
- 그러나 2015년 3월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캄보디아 자국통화(Riel)의 통화량과 예금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 20년간 각각 연 17%, 2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밝힘. 자국통화 장려가 캄보디아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 정부 차원의 국가전략으로 자국통화 사용량을 늘려나갈 방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힘.
□ 시사점 및 시장 전망
○ ADB는 향후 캄보디아 경제는 비교적 안정화되는 국가 내 정치적 환경, 국제 유가 하락, 미국, 태국, EU 등의 국가와의 교역증진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GDP의 경우 2015년 7.3%, 2016년 7.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미국과 태국의 경제호전과 함께 EU경제가 호전됨에 따라 캄보디아의 수출량은 점차 증가해 향후 캄보디아의 GDP 대비 무역수지 적자율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측됨.
-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전망(WEO) 2015’에서 향후 캄보디아 경제성장률에 대해 2015년 7.2%, 2016년 7.2%로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
- 반면 세계은행은 생산가 상승, 달러절상, 봉제분야 신규 경쟁국 등장, 관광객 증가율 감소 등의 요소로 인해 2015년 캄보디아 경제성장률을 전년대비 0.1% 감소한 6.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 점진적인 수출증가와 관광객 유치를 통해 서비스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 차원의 농업진흥정책으로 농업 또한 다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 기존의 주요 수출품인 의류, 신발류 시장의 수요증가와 도·소매거래 증가로 캄보디아 내 소득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ADB 전망에 따르면, 2015년 캄보디아 산업은 약 8.1%의 서비스업 성장과 함께 약 9.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농업의 경우 쌀 수출을 기반으로 약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캄보디아 쌀수출 원스톱 서비스국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2015년 초 3개월 동안 총 14만9464톤의 쌀을 수출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함.
- 2015년 4월 캄보디아 농림수산부는 농업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 향상을 통한 농업진흥을 목적으로 농업 개량 보급 정책을 수립 중이며 약 2개월 후 완성될 계획이라고 밝힘.
○ 캄보디아는 재정 안정화와 함께 건축 및 부동산 버블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은행 감독과 규제 프레임워크를 보강하고 부동산 투자에 관한 대출을 예의주시할 것으로 판단됨.
- 2015년 캄보디아 부동산시장은 지속적인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유입과 비교적 안정화되는 금융환경에 힘입어 다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ADB 전망에 따르면, 2015년 캄보디아의 물가상승률은 연말까지 3.0% 수준으로 점차 다가설 것으로 보이지만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1.6% 정도로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됨. 또한 식료품 가격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2016년에는 2.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2015년 1월 캄보디아 물가상승률은 4.9%로 전년 동월 대비 0.4% 상승함.
- 2015년 캄보디아의 공적자금 이전을 제외한 경상수지는 적자를 유지하지만 소폭 변화가 있을 전망임.
○ 캄보디아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서 경공업으로의 성장 원천 다양화와 지역적, 국제적 공급체인의 통합,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의 과제가 있음.
- 캄보디아는 의류, 농산품 등의 특정품목과 관광업, 건설업 등의 특정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오고 있으며, 또한 교역측면에서 큰 특혜를 받는 유럽과 미국으로의 수출 집중과 한정된 생산기지를 통해 발전하고 있음. 이러한 성장은 대외가격 변동과 대외수요 충격, 국제 무역정책 변화에 대해 매우 취약함.
- 현재 캄보디아의 성장 원천 다양화의 노력으로 농산물과 가구, 전자제품 및 자동차 부품과 같은 간단한 경공업 성장에 진전이 있음.
- 교통, 에너지, 물 공급과 같은 인프라 개선을 통해 투자환경을 개선해 경제 성장에 필요한 해외자본, 기술, 경영을 이끌어야 할 것임.
- 경제특구 운영은 외국인 제조업 투자자들을 유치하는데 일조했으나 큰 성과를 거뒀다고 보기 힘든 수준임.
'캄보디아 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I. 캄보디아 수출입 동향(-2014년) (0) | 2015.08.24 |
---|---|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캄보디아의 인터넷 서비스 산업 (0) | 2015.06.27 |
캄보디아 교통 인프라 현황 (0) | 2015.06.11 |
거듭 성장하는 캄보디아 은행업 (0) | 2015.06.08 |
간편해지는 캄보디아 국제 상표출원 (0) | 2015.06.08 |